사리

내위키
(라면사리에서 넘어옴)

국수 뭉치를 세는 단위

국수나, 새끼, 실과 같은 것들을 일정한 분량만큼 동그랗게 포개어 감아 놓은 뭉치를 뜻하며, 이러한 뭉치를 세는 단위이기도 하다. 즉 국수 한 사리, 실 두 사리와 같은 식으로 센다. 이러한 뭉치를 만드는 것을 '사리다'라고 하는데,[1] 여기서 파생된 명사가 '사리'다.

이것이 어원이 되어 국수 요리에서 국수만을 추가로 주문할 때나 찌개전골 같은 국물 요리에 넣는 국수를 부르는 말이 되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라면사리, 우동사리, 쫄면사리 같은 게 여기에 해당한다. 더 나아가서는 아예 국수가 아니더라도 국물 요리에 추가로 들어가는 것들을 부르는 말로 확장되었다. 부대찌개사리를 넣는다든가... 또한 국물 요리 말고 볶음 요리 같은 다른 종류의 요리에도 추가로 들어가는 것을 부르는 말로도 쓰인다. 닭갈비집은 보통 사리, 쫄면사리 같은 것들을 추가로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최종 보스로는 여러 가지를 한데 모은 모둠사리가 있다.

전골 요리에는 사리를 넣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거의 필수이기도 하고 아예 기본 제공을 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부대찌개라면사리. 거의 필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사람 수대로 부대찌개를 주문하면 라면사리는 무한 제공하는 가게들도 많다. 김치찌개에도 테이블에서 끓여 먹을 때에는 라면이나 우동사리를 넣어 먹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쪽의 사리로는 라면의 수요가 가장 많아서 오뚜기라면은 아예 스프를 빼고 면만 들어간 사리면을 내놓았는데[2] 농심이 꽉 잡고 있는 라면 시장에서 업소용 라면사리만큼은 오뚜기가 석권하고 있다. 농심도 사리면을 내놓았지만 오뚜기만큼의 인기는 누리지 못하고 있다. 우동사리도 수요가 많고 쫄면, 칼국수도 사리로 자주 쓰이는 국수들. 라면사리는 특유의 고소한 맛과 편리성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다만 국물을 많이 빨아들이므로 육수를 추가로 부어야 할 때가 많고, 국수에게는 공통인 전분은 물론 유탕면답게 기름기도 많아서 전골 본연의 맛에 영향을 많이 미치므로 피하는 사람들도 있다. 국물이 걸쭉해지거나 너무 기름진 게 싫으면 라면보다는 우동이나 당면이 낫다. 당면은 국물을 빨아들이는 편이지만 우동은 냉동 혹은 상온 상태인 생면을 한 번 삶아서 넣어주므로 국물을 거의 빨아들이지 않는다.

일본어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위에서 보는 것처럼 우리말 '사리다'에서 나온 말이다. 일본어 사리(さり) 또는 샤리(しゃり)는 2의 뜻으로 쓰이는 사리, 또는 쌀밥이나 스시의 밥 부분을 뜻하는 말이다. 우리나라의 사리처럼 일본 라멘집 같은 곳에서 추가로 국수를 주문할 때 쓰는 말은 카에다마(かえだま, 替玉)다. 일본스키야키샤브샤브, 창코나베 같은 전골요리를 먹고 남은 국물에 국수를 넣어 먹거나 밥을 넣어 죽(조스이)를 만들어 먹는다.

욕에도 쓰인다. 아무 생각 없는 멍청한 사람, 수준 이하의 생각이나 말을 하는 사람들을 욕할 때, '머리에 뇌 대신 우동사리가 들었냐'는 표현을 쓴다. 생면 형태로 포장된 우동사리를 보면 꼬불꼬불하게 뭉친 모양이 뇌의 주름을 닮은 모양이라서 이러한 표현이 쓰인다. 꼬불거리는 것은 라면사리가 더 하지만 라면은 면발이 얇고 건조하기 때문에 우동이 좀더 비슷해 보이긴 한다.

다비 후에 남는 구슬 모양의 잔여물

밀물과 썰물의 차가 가장 큰 시기

밀물과 썰물을 통틀어 조수(潮水)라고 하는데, 조수의 차이가 가장 큰 시기를 사리, 가장 작은 시기를 조금이라고 한다. 더 정확히는 밀물이 가장 높은 때를 '만조', 썰물이 가장 낮을 때를 '간조'라고 하는데 이 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가장 클 때가 사리, 가장 작을 때가 조금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와 달 사이의 인력 때문으로, 사리는 보통 음력 보름(15일)과 그믐(30일)이며, 조금은 음력 8일과 23일이다. 배를 타는 사람들이 음력을 중요하게 보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각주

  1. '몸을 사리다'라는 표현도 여기서 나온 것이다. 국수나 실뭉치를 동그랗게 만 것처럼 몸을 동그랗게 웅크린 모습에서 나온 말.
  2. 80년대까지만 해도 '덕용'이라는 이름으로 4~5개를 한 묶음으로 한 라면 포장 단위도 있었다. 지금도 멀티팩이 있긴 하지만 개별 포장된 라면을 다시 한데 묶어 포장한 것인데 반해, 덕용 라면은 겉포장에만 상표와 정보 표시가 있었다. 겉포장을 뜯어 보면 면은 아무 것도 씌여 있지 않은 투명 비닐로만 포장했고 스프도 면과는 별개로 따로 넣었기 때문에 사리로 쓰기에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