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반

내위키
Dennis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2월 10일 (일) 07:18 판 (새 문서: 좁은 의미로 보면 생선소금을 뿌린 것. 사실 굴비소금을 뿌려서 보존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는 자반이라고 부를 수 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좁은 의미로 보면 생선소금을 뿌린 것. 사실 굴비소금을 뿌려서 보존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는 자반이라고 부를 수 있지만 보통은 등푸른 생선을 사용한 것을 자반이라고 한다. 특히 자반 고등어가 인기가 워낙에 압도적이라서 자반 하면 그냥 고등어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옛날에는 물론 보존성을 위한 방법으로, 냉장 냉동기술이 없었던 때에는 생선을 잡으면 상하기 쉬웠기 때문에 배를 가르고 내장을 들어낸 뒤, 살 위에 소금을 뿌려서 보존성을 높였다. 이러한 작업은 바로 어선 위에서도 이루어지기도 했는데, 이렇게 만든 것을 '뱃자반'이라고 해서 더 높게 쳤다. 아무래도 신선할 때 처리하는 게 더 품질에는 더 도움이 될 테니... 이렇게 소금을 뿌리면 보존성 말고도 미리 간이 되는 효과가 있어서 특별히 뭘 안하고 구워도 짭짤한 생선 구이를 만들 수 있었다. 다만 살이 단단해지기 때문에 부드러운 식감이 어울리는 조림이나 탕에는 자반이 잘 안 맞다. 아니면 조림을 하기 전에 물에 담가서 소금기를 빼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런 단단한 식감을 오히려 좋아해서 자반 고등어만 찾는 사람들도 꽤나 있으니 그야말로 입맛은 개인마다 다른 셈.

안동의 간고등어가 유명한데[1], 특히 빠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고르게 소금을 뿌리는 간잽이의 기술이 중요하다. 유명 간잽이들을 보면 정말 대충 휙휙 엄청난 속도로 뿌리는 것 같지만 뿌려 놓은 것을 보면 소금의 양도 일정하고 고르게 뿌려져 있다. 다만 요즘의 간고등어는 냉장 유통되기 때문에 소금 양이 적은 편, 옛날에는그 정도로는 어림도 없기 때문에 소금 양이 훨씬 많았다. 거의 소금에 절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는 수입 고등어가 많이 들어와서 아예 노르웨이산으로 만든 간고등어도 많이 팔리고 있다.

산울림의 노래 <어머니와 고등어>에 나오는 고등어도 자반이다. "한밤중에 목이 말라 냉장고를 열어보니 한귀퉁이에 고등어가 소금에 절여져 있네."라는 가사를 보면 추측할 수 있는데, 자반을 사온 건지 생물을 사 와서 어머니가 소금에 절인 건지는 불확실.

넓은 의미로 보면 생선만이 아니라 해산물이나 채소를 소금이나 간장에 절인 반찬류도 포함이 된다. 대표적인 것이 해산물 쪽으로는 김자반이 있고, 농산물 쪽으로는 콩자반이 있다. 김자반은 김에 소금과 간장 양념, 설탕, 참깨 같은 것들을 넣어서 볶아낸 것이고, 콩자반간장에 졸인 일종의 조림 음식이다.

  1. 안동도 내륙 지방이다 보니까 생선을 자반으로 먹은 듯하다. 하지만 안동까지 가져와서 소금을 뿌리는 건 한겨울이라면 모를까 안동에 오기 전에 썩어버릴 것이고, 옛날에는 미리 소금에 절여서 가지고 왔을 것이다. 한편 안동은 상어를 발효시킨 돔배기가 제삿상에 올라는 걸로도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