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s>" 문자열을 "<del>" 문자열로)
5번째 줄: 5번째 줄:
[[브랜디]]의 경우에는 [[코냑]]이나 [[아르마냑]] 같은 [[포도]] [[브랜디]]가 압도적이지만 이 쪽 동네는 나름대로 춘추전국시대다. 물론 위스키라고 하면 가장 먼저 [[스코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나 [[몰트 위스키]]가 생각나겠지만 [[미국]]의 [[버번]],  [[아일랜드]]의 [[아이리시 위스키]]와 같은 무시무시한 놈들이 득실득실하니... 그밖에도 [[아이리시 위스키]], [[캐나디안 위스키]] 같은 것들도 한 자리씩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del>[[스카치 위스키]]의 따라쟁이인</del> 일본 위스키도 또 무시 못한다. 옛날에는 따라쟁이였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위스키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심지어 [[스카치 위스키]]보다 좋은 평판을 얻는 놈도 있다. 대표적인 게 [[산토리]]의 [[싱글 몰트 위스키]]인 [[야마자키]].
[[브랜디]]의 경우에는 [[코냑]]이나 [[아르마냑]] 같은 [[포도]] [[브랜디]]가 압도적이지만 이 쪽 동네는 나름대로 춘추전국시대다. 물론 위스키라고 하면 가장 먼저 [[스코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나 [[몰트 위스키]]가 생각나겠지만 [[미국]]의 [[버번]],  [[아일랜드]]의 [[아이리시 위스키]]와 같은 무시무시한 놈들이 득실득실하니... 그밖에도 [[아이리시 위스키]], [[캐나디안 위스키]] 같은 것들도 한 자리씩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del>[[스카치 위스키]]의 따라쟁이인</del> 일본 위스키도 또 무시 못한다. 옛날에는 따라쟁이였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위스키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심지어 [[스카치 위스키]]보다 좋은 평판을 얻는 놈도 있다. 대표적인 게 [[산토리]]의 [[싱글 몰트 위스키]]인 [[야마자키]].


[[곡물]]도 [[과일]]도 아닌 것을 재료로 쓰는 증류주인 [[럼]]([[사탕수수]])이나 [[테킬라]]([[용설란]])는 어떻게 할 것인가? <s>저희들은 브랜디예요. 넌 과일이 아니잖아. 전 위스키예요. 너는 곡물도 아니잖아. 이리하여 왕따 당한 럼과 테킬라는 박쥐처럼 남들이 자는 밤에만 활동하게 되었답니다.</s> 이들은 [[당분]]을 [[녹말]] 형태가 아닌 [[당분]] 그대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당화효소]]가 따로 필요 없다.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브랜디]]에 좀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브랜디]] 쪽에서는 안 끼워준다. <s>역시 박쥐 확정.</s>
[[곡물]]도 [[과일]]도 아닌 것을 재료로 쓰는 증류주인 [[럼]]([[사탕수수]])이나 [[테킬라]]([[용설란]])는 어떻게 할 것인가? <del>저희들은 브랜디예요. 넌 과일이 아니잖아. 전 위스키예요. 너는 곡물도 아니잖아. 이리하여 왕따 당한 럼과 테킬라는 박쥐처럼 남들이 자는 밤에만 활동하게 되었답니다.</s> 이들은 [[당분]]을 [[녹말]] 형태가 아닌 [[당분]] 그대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당화효소]]가 따로 필요 없다.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브랜디]]에 좀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브랜디]] 쪽에서는 안 끼워준다. <del>역시 박쥐 확정.</s>


[[한국]]과 [[일본]]의 [[소주]], [[중국]]의 [[고량주]], [[러시아]]의 [[보드카]]도 곡물 기반의 [[증류주]]인 만큼 이쪽에 들어가지만 엄밀히 말하면 위스키는 나무통 숙성을 거친 것으로 한정한다. <del>그렇다면 [[일품진로]]는 위스키 입성?</del> 나무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것을 [[프랑스]]에서는 [[오드비]]라고 부른다.
[[한국]]과 [[일본]]의 [[소주]], [[중국]]의 [[고량주]], [[러시아]]의 [[보드카]]도 곡물 기반의 [[증류주]]인 만큼 이쪽에 들어가지만 엄밀히 말하면 위스키는 나무통 숙성을 거친 것으로 한정한다. <del>그렇다면 [[일품진로]]는 위스키 입성?</del> 나무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것을 [[프랑스]]에서는 [[오드비]]라고 부른다.

2016년 12월 10일 (토) 08:26 판

Whisky. 미국과 아일랜드 영어로는 Whiskey.

곡물을 주 원료로 만든 증류주. 과일을 주 원료로 하는 증류주브랜디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밀, 보리, 옥수수, 호밀을 비롯한 갖가지 곡물들이 원료가 된다.

브랜디의 경우에는 코냑이나 아르마냑 같은 포도 브랜디가 압도적이지만 이 쪽 동네는 나름대로 춘추전국시대다. 물론 위스키라고 하면 가장 먼저 스코틀랜드스카치 위스키몰트 위스키가 생각나겠지만 미국버번, 아일랜드아이리시 위스키와 같은 무시무시한 놈들이 득실득실하니... 그밖에도 아이리시 위스키, 캐나디안 위스키 같은 것들도 한 자리씩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스카치 위스키의 따라쟁이인 일본 위스키도 또 무시 못한다. 옛날에는 따라쟁이였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위스키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심지어 스카치 위스키보다 좋은 평판을 얻는 놈도 있다. 대표적인 게 산토리싱글 몰트 위스키야마자키.

곡물과일도 아닌 것을 재료로 쓰는 증류주인 (사탕수수)이나 테킬라(용설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저희들은 브랜디예요. 넌 과일이 아니잖아. 전 위스키예요. 너는 곡물도 아니잖아. 이리하여 왕따 당한 럼과 테킬라는 박쥐처럼 남들이 자는 밤에만 활동하게 되었답니다. 이들은 당분녹말 형태가 아닌 당분 그대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당화효소가 따로 필요 없다.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브랜디에 좀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브랜디 쪽에서는 안 끼워준다. 역시 박쥐 확정.

한국일본소주, 중국고량주, 러시아보드카도 곡물 기반의 증류주인 만큼 이쪽에 들어가지만 엄밀히 말하면 위스키는 나무통 숙성을 거친 것으로 한정한다. 그렇다면 일품진로는 위스키 입성? 나무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것을 프랑스에서는 오드비라고 부른다.

위스키의 최대 소비국은 의외로 인도다. 하긴 인구빨이 있으니. 인도 혼자서 전 세계 소비량의 절반을 먹고 있다. 하지만 이 동네는 정말 질보다 양이라서 위스키에 대한 명확한 표준이나 기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