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짜면

내위키
Ujjamyeon.jpg

경상남도 통영시 일대에서 볼 수 있는 국수 요리. 우짜면이란 우동+짜장을 뜻하는 것으로, 기본은 우동, 정확히는 한국화된 가락국수 위에 짜장 소스를 한 국자 얹어주는 요리다. 고명으로는 대파와 채썬 어묵, 단무지를 올려주며, 고춧가루를 위에 조금 뿌려준다. 우동은 한국화된 일본요리이고, 짜장은 한국화된 중화요리로, 이 간단한 요리는 알고 보면 일본+중국=한국이라는 기묘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우동+짜장 말고도, "우동도 먹고 싶고 짜장도 먹고 싶은데 우짜면 좋겠노?"에서 나왔다는, 말장난 수준의 썰도 있다.[1] 2022년에 GS25에서 우짜면을 즉석용기면 형태로 출시했는데 이 제품 이름도 '통영식 우동짜장 - 우짜면 좋을까'였다.

현대에 들어서 등장한 음식이지만 내력은 꽤 오래된 것으로, 통영항 앞 서호시장 안에 있는 <원조 할매우짜>를 대체로 원조로 쳐 주는데 1965년부터 리어카에서 연탄불을 피워서 우동짜장을 팔다가, 둘 다 먹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짜장을 한 국자 넣어준 우동을 팔기 시작한 게 우짜면의 유래라고 한다.[2] 이미 3대째 장사 중인데 1, 2, 3대 주인이 서로 혈연 관계가 전혀 없는 것도 독특한 점. 단골손님으로 인연을 시작했다가 가게를 물려받았다고 한다. 그밖에 서호시장과 중앙시장과 같은 시장통 및 항구 앞에 우짜면 파는 가게가 여럿 있으며, 우짜면 말고도 말린 고구마를 물에 불리고 강낭콩과 팥을 넣어 쑨 빼떼기죽이나 김밥 같은 간단한 분식을 파는 가게들이 많다. 우짜면 전문점이 아니어도 통영 일대의 국수집 중 메뉴에 우짜면을 올린 곳을 종종 볼 수 있다. 항구 근처 시장통에서 시작된만큼, 배타기 전의 어부들이나 장보러 온 사람들이 빠르고 간단하게 배채우고 가는 개념에 가까운 음식이다.

먹는 방법은 각자 알아서. 처음에는 짜장우동 국물이 섞여 있지 않으므로 처음 먹어 본다면 그 상태에서 국물 맛을 보자. 앞서 말한 대로 멸치나 디포리 같은 육수 재료가 풍부한 고장이므로 감칠맛이 진한 국물맛을 느낄 수 있다. 그 다음에 짜장을 풀어서 먹을 수도 있고, 굳이 풀지 않고 그냥 먹다 보면 짜장이 자연스럽게 섞인다. 짜장이 풀어지면 국물은 걸쭉해지는데 이 때에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같이 써서 국수국물을 같이 떠먹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맛 자체는 딱히 대단할 게 없다. 그야말로 가락국수짜장 한 국자가 올라간 딱 그 맛이다. 가락국수만으로 보면 통영이 어업이 발달한 항구도시이고 특히 가락국수 육수의 주 재료인 멸치와 디포리가 풍성하기 때문에 딴 건 몰라도 국물 맛은 진하고 감칠맛이 좋다. 여기에 굳이 짜장이 올라간다고 해서 맛이 더 좋아진다고 보기도 힘들고, 오히려 가락국수의 시원한 육수맛을 짜장이 가려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짜장 소스가 진짜 중국집 것과 비교했을 때 딱히 맛난 것도 아닌, 대략 기사식당이나 분식집 수준의 맛이다. 주문했을 때 짜장을 볶아내는 게 아니라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을 한 국자 올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냥 통영에서 파는 특이한 별미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통영 사람들 중에는 우리 고장에 해산물도 풍부하고 다른 맛난 음식들도 많은데 왜 굳이 우짜면을 통영의 향토요리로 밀어주나, 싶어서 불만스러워하는 이들도 있다. 우짜면에서 짜장만 빼면 우동이므로 우짜면 집은 우동도 같이 판다. 우짜면을 한번 먹어 보고 별로라고 생각하면 다음에는 우동을 먹으면 그만이다.

각주

  1. 유승완, "우짜면 이것은 통영 진미?", 지역N문화테마, 한국문화연합회.
  2. "서호전통시장사람들 :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3대 명가 ‘할매우짜’", 한려투데이, 2014년 1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