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센타마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우리말로 풀어보면 온천달걀이다. '온천달걀'로도 이곳에 들어올 수 있다.  
우리말로 풀어보면 온천달걀이다. '온천달걀'로도 이곳에 들어올 수 있다.  


말 그대로 뜨거운 [[온천]]물에 익한 [[달걀]]이다. 사방 천지에 온천이 널린 <del>불지옥</del> 일본답게 [[온천]]물을 이용해서 [[달걀]]을 익힌 것.
말 그대로 뜨거운 [[온천]]물에 익한 [[달걀]]이다. 사방 천지에 [[온천]]이 널린 <del>불지옥</del> 일본답게 [[온천]]물을 이용해서 [[달걀]]을 익힌 것.


온천물이 뜨겁다고는 하지만 펄펄 끓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뜨거운 [[온천]]이라고 해도 70~80도대니까, [[삶은달걀]]처럼 흰자를 완전히 익히기는 힘든데, 익은 것도 안 익은 것도 아닌 흰자가 오히려 온센타마고의 포인트.
온천물이 뜨겁다고는 하지만 펄펄 끓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뜨거운 [[온천]]이라고 해도 70~80도대니까, [[삶은달걀]]처럼 흰자를 완전히 익히기는 힘든데, 익은 것도 안 익은 것도 아닌 흰자가 오히려 온센타마고의 포인트.
9번째 줄: 9번째 줄:
온천물에 약 20분 정도 달걀을 껍질째 넣어 익힌다. 70도 정도라면 20분, 60도 정도라면 40분 정도 걸린다. 진짜 [[온천]]에서 만들 때에야 그냥 흐르는 온천물에 [[달걀]]을 담가놓고 온도에 맞게 시간 조절을 한다. 집에서도 만들 수 있는데 물을 끓인 다음 적당한 온도까지 식힌 다음 [[달걀]]을 넣는다. 물 온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보온이 되는 [[스티로폼]] 그릇에 넣거나 살짝 데워가면서 온도를 맞춰줘야 한다.  물 양이 많아야 온도 유지가 쉽다. 데울 때에는 온도가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게 포인트. 아예 온센타마고를 만들어주는 가전제품도 있고 식당 같은 곳에서 한번에 수십 개씩 만들 수 있는 기계도 있다.
온천물에 약 20분 정도 달걀을 껍질째 넣어 익힌다. 70도 정도라면 20분, 60도 정도라면 40분 정도 걸린다. 진짜 [[온천]]에서 만들 때에야 그냥 흐르는 온천물에 [[달걀]]을 담가놓고 온도에 맞게 시간 조절을 한다. 집에서도 만들 수 있는데 물을 끓인 다음 적당한 온도까지 식힌 다음 [[달걀]]을 넣는다. 물 온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보온이 되는 [[스티로폼]] 그릇에 넣거나 살짝 데워가면서 온도를 맞춰줘야 한다.  물 양이 많아야 온도 유지가 쉽다. 데울 때에는 온도가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게 포인트. 아예 온센타마고를 만들어주는 가전제품도 있고 식당 같은 곳에서 한번에 수십 개씩 만들 수 있는 기계도 있다.


차게 먹는 게 보통이라 다음 30분 정도 놓아두거나 냉장고에 놓고 식힌다. 그냥 먹을 때에는 우묵한 그릇에 담고 [[가쓰오부시]] 국물을 약간 뿌려서 후루룩 마시듯이 먹는다. [[우동]]이나 [[덮밥]]에 토핑으로 올려서 먹기도 한다.  
차게 먹는 게 보통이라 조리가 끝난 다음 물에서 꺼내 껍질을 깨지 않고 30분 정도 놓아두거나 냉장고에 놓고 식힌다. 그냥 먹을 때에는 껍질을 깬 뒤 우묵한 그릇에 담고 [[가쓰오부시]] 국물을 약간 뿌려서 후루룩 마시듯이 먹는다. [[우동]]이나 [[덮밥]]에 토핑으로 올려서 먹기도 한다.  


[[수란]] 또는 [[포치드 에그]]비슷해 보이지만 이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수란]]이나 [[포치드 에그]]는 끓는 물에 익혀서 [[흰자]]를 굳히지만 온센타마고는 [[흰자]]가 완전히 굳어 있지 않고 흐물흐물한 상태다.  
[[수란]] 또는 [[포치드 에그]], 혹은 [[삶은달걀]]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앞의 세 가지 음식은 끓는 물에 익혀서 [[흰자]]를 굳히지만 온센타마고는 끓는 물이 아닌 더운 물에 익히고, [[흰자]]가 완전히 굳어 있지 않고 흐물흐물한 상태인 점이 차이가 있다.


당연히 [[일본]]의 [[온천]] 관광지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다. 길거리에서도 팔고 있으므로 날[[달걀]] 먹는 데에 거부감이 없다면 한번쯤 먹어보자.
당연히 [[일본]]의 [[온천]] 관광지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다. 길거리에서도 팔고 있으므로 날[[달걀]] 먹는 데에 거부감이 없다면 한번쯤 먹어보자.
[[Category:일본음식]]

2016년 1월 23일 (토) 12:55 판

温泉卵(おんせんたまご).

우리말로 풀어보면 온천달걀이다. '온천달걀'로도 이곳에 들어올 수 있다.

말 그대로 뜨거운 온천물에 익한 달걀이다. 사방 천지에 온천이 널린 불지옥 일본답게 온천물을 이용해서 달걀을 익힌 것.

온천물이 뜨겁다고는 하지만 펄펄 끓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뜨거운 온천이라고 해도 70~80도대니까, 삶은달걀처럼 흰자를 완전히 익히기는 힘든데, 익은 것도 안 익은 것도 아닌 흰자가 오히려 온센타마고의 포인트.

온천물에 약 20분 정도 달걀을 껍질째 넣어 익힌다. 70도 정도라면 20분, 60도 정도라면 40분 정도 걸린다. 진짜 온천에서 만들 때에야 그냥 흐르는 온천물에 달걀을 담가놓고 온도에 맞게 시간 조절을 한다. 집에서도 만들 수 있는데 물을 끓인 다음 적당한 온도까지 식힌 다음 달걀을 넣는다. 물 온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보온이 되는 스티로폼 그릇에 넣거나 살짝 데워가면서 온도를 맞춰줘야 한다. 물 양이 많아야 온도 유지가 쉽다. 데울 때에는 온도가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게 포인트. 아예 온센타마고를 만들어주는 가전제품도 있고 식당 같은 곳에서 한번에 수십 개씩 만들 수 있는 기계도 있다.

차게 먹는 게 보통이라 조리가 끝난 다음 물에서 꺼내 껍질을 깨지 않고 30분 정도 놓아두거나 냉장고에 놓고 식힌다. 그냥 먹을 때에는 껍질을 깬 뒤 우묵한 그릇에 담고 가쓰오부시 국물을 약간 뿌려서 후루룩 마시듯이 먹는다. 우동이나 덮밥에 토핑으로 올려서 먹기도 한다.

수란 또는 포치드 에그, 혹은 삶은달걀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앞의 세 가지 음식은 끓는 물에 익혀서 흰자를 굳히지만 온센타마고는 끓는 물이 아닌 더운 물에 익히고, 흰자가 완전히 굳어 있지 않고 흐물흐물한 상태인 점이 차이가 있다.

당연히 일본온천 관광지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다. 길거리에서도 팔고 있으므로 날달걀 먹는 데에 거부감이 없다면 한번쯤 먹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