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양주

내위키

집에서 빚어 만드는 . 한자로 쓰면 家(집 가)釀(빚을 양)酒(술 주)이므로 역시 '집에서 빚는 술'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주 중 상당수는 가양주로 만들어졌다. 집에서 가족들이 마시거나 손님 접대 때도 썼지만 무엇보다도 제사 때 쓸 술이 중요했다. 제사를 지내는 동안 계속해서 제삿상에 술을 올리고, 끝나고 나면 어린아이도 음복으로 술을 맛볼 정도로 제사에서 은 무척 중요한 존재다. 그러니 김치나 장을 직접 담그듯 을 빚는 것도 어떻게 보면 당연한 풍습이었다. 이름 있는 종갓집이라면 그 가문을 대표하는 가양주가 있게 마련이었다. 핏줄이 있는 집안이라면 저마다 가양주를 담갔을 것이고 집집마다 장맛이 다르듯 술맛도 차이가 있었으니 가양주가 수천 종은 족히 되었을 것이다.

이런 가양주의 계보가 초토화된 것은 먼저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수탈을 일삼던 일제에게 술을 빚기 위해서 쌀을 쓰는 게 좋게 보일 리가 없었다. 또한 술에 세금을 매겨서 수입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1] 집에서 술을 빚지 못하도록 허가제를 도입했지만 신청한다고 해서 허가를 내 줄리도 없었다. 태평양전쟁을 일으키고 나서는 더욱 악랄하게 수탈해 갔으니 쌀은 물론이고 각종 도구들까지 전쟁 물자로 쓸만한 것들은 모조리 쓸어갔다. 그래도 일부 종갓집이나 가정에서는 몰래몰래 술을 빚어 가면서 명맥을 이어 가기도 했지만 그나마 이런 미약한 흐름을 확인사살 시킨 것은 박정희 시대다. 누가 일본군 장교 아니랄까봐. 밥 지을 쌀도 없는데 빚을 쌀이 어디 있느냐는 논리를 내세워 쌀로 을 빚는 것을 아예 금지시켰고 가양주에 밀주(密酒), 즉 몰래 담그는 술이라는 나쁜 의미의 이름까지 붙여가면서 단속을 했으니 때문에 이 주원료였던 가양주들이 남아날 수가 없었다.[2] 오죽하면 미국 포드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 한국을 대표하는 술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박정희 정권이 부랴부랴 대구 경북 지역 소주회사인 금복주에게 만들게 한 게 경주법주였다. 쌀로 을 빚지 못하도록 한 제한이 풀린 건 서울올림픽이 열린 1988년이었으니 지금 시중에 있는 거의 모든 가양주는 명맥이 끊겼다가 복원된 것이다. 즉 옛날 그 전통주와 같다는 보장이 없다.

현재는 집에서 을 만드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하다. 단 판매는 할 수 없다. 홈 브루잉이 인기를 얻어 가면서 취미로 전통주를 만드는 사람들도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

각주

  1. 이 시기 주세로 총독부가 거둔 수입이 전체 조세 수입의 3분의 1에 이르렀다니 말 다했다.
  2. 사실 '초가집도 없애고~' 어쩌고 저쩌고 하던 새마을운동도 전통문화 말살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