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새 문서: 배추, 와 같은 채소고춧가루, 마늘, , 젓갈과 같은 여러 가지 양념으로 버무려 절인 다음 숙성시켜서 먹는 한...)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지금은 [[백김치]]나 [[동치미]] 같은 몇몇 김치를 빼고는 [[고춧가루]]가 들어가는 게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지만 알고 보면 김치에 [[고춧가루]]를 넣은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고추]] 자체가 [[임진왜란]] 이후에 들어온 것이기 때문에 김치에 [[고춧가루]]가 들어간 것도 당연히 그 이후다.
지금은 [[백김치]]나 [[동치미]] 같은 몇몇 김치를 빼고는 [[고춧가루]]가 들어가는 게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지만 알고 보면 김치에 [[고춧가루]]를 넣은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고추]] 자체가 [[임진왜란]] 이후에 들어온 것이기 때문에 김치에 [[고춧가루]]가 들어간 것도 당연히 그 이후다.
가을이 한창일 때 겨울 내내 먹을 김치를 담그는 것을 김장이라고 한다. 대가족 문화에서는 몇 백 포기 정도 담그는 건 기본이었다. 집안 사람들도 먹고, 타지에 나간 가족들에게도 보내주고 하다 보면 몇백 포기는 우습게 넘어갔다. 옛낱 마을 공동체 문화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품앗이로 김장 담그는 걸 도와주기도 하고, 김장을 좀 넉넉하게 하고 [[겉절이]]도 담가서 동네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삶아서 [[막걸리]]와 함께 먹는 풍경은 김장철에는 흔한 일이었다. 핵가족화가 되었어도 몇십 포기 정도 담그는 집이 많았지만 요즈음은 맞벌이다 뭐다 해서 집에서 밥 먹는 횟수가 줄어든 점도 있고, 힘들게 [[배추]] 절이고 속 만들고 버무리고 하느니 사먹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해서 김장 문화는 농촌에는 남아 있지만 도시에서는 점점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나 시민단체에서 이벤트성으로 김장 담그기 행사를 하는데, 주로 복지시설이나 불우이웃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한다.


{{각주}}
{{각주}}


[[Category:한국음식]]
[[Category:한국음식]]

2020년 1월 2일 (목) 16:10 판

배추, 와 같은 채소고춧가루, 마늘, , 젓갈과 같은 여러 가지 양념으로 버무려 절인 다음 숙성시켜서 먹는 한국음식.

한국음식 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고, 한국인들은 김치 없으면 밥 못 먹는다고 할 정도로 필수요소다. 젊은층으로 갈수록 김치 없으면 밥 못먹다는 사람들은 좀 줄어드는 분위기긴 하지만[1] 그래도 젊은 층도 여전히 대다수는 김치를 좋아하는 편이다. 외국에서도 Kimchi는 꽤 알려진 음식으로, 때로는 한국을 대표하는 단어처름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외국에서 한국에 투자하는 펀드를 Kimchi fund라고 부른 적도 있다.

지금은 백김치동치미 같은 몇몇 김치를 빼고는 고춧가루가 들어가는 게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지만 알고 보면 김치에 고춧가루를 넣은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고추 자체가 임진왜란 이후에 들어온 것이기 때문에 김치에 고춧가루가 들어간 것도 당연히 그 이후다.

가을이 한창일 때 겨울 내내 먹을 김치를 담그는 것을 김장이라고 한다. 대가족 문화에서는 몇 백 포기 정도 담그는 건 기본이었다. 집안 사람들도 먹고, 타지에 나간 가족들에게도 보내주고 하다 보면 몇백 포기는 우습게 넘어갔다. 옛낱 마을 공동체 문화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품앗이로 김장 담그는 걸 도와주기도 하고, 김장을 좀 넉넉하게 하고 겉절이도 담가서 동네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삶아서 막걸리와 함께 먹는 풍경은 김장철에는 흔한 일이었다. 핵가족화가 되었어도 몇십 포기 정도 담그는 집이 많았지만 요즈음은 맞벌이다 뭐다 해서 집에서 밥 먹는 횟수가 줄어든 점도 있고, 힘들게 배추 절이고 속 만들고 버무리고 하느니 사먹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해서 김장 문화는 농촌에는 남아 있지만 도시에서는 점점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나 시민단체에서 이벤트성으로 김장 담그기 행사를 하는데, 주로 복지시설이나 불우이웃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한다.

각주

  1. 그것도 그거지만 일단 쌀 소비량도 계속 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