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절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또 다른 설은 덜 알려져 있지만 좀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반죽을 길게 자른 다음 늘려서 굴린 다음 한 입 크기로 자르는 모습에서 당겨서 자른 쌀(또는 떡)이란 듯으로 '引絶米(餠)'이라고 했다는 설. <del>아마 이쪽 설이 힘을 얻기는 힘들 거다. 일단 [[공주시]]에서 앞의 설을 가지고 인절미 축제를 요란하게 벌이고 있는데 가만히 있겠냐고.</del>  
또 다른 설은 덜 알려져 있지만 좀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반죽을 길게 자른 다음 늘려서 굴린 다음 한 입 크기로 자르는 모습에서 당겨서 자른 쌀(또는 떡)이란 듯으로 '引絶米(餠)'이라고 했다는 설. <del>아마 이쪽 설이 힘을 얻기는 힘들 거다. 일단 [[공주시]]에서 앞의 설을 가지고 인절미 축제를 요란하게 벌이고 있는데 가만히 있겠냐고.</del>  
[[제삿상]]이나 혼레상에는 꼭 올라가는 아이템 가운데 하나인데, 이 때 쓰는 떡은 한입 크기로 자르지 않고 접시를 뒤덮을 정도로 넓게 자른 것을 몇 겹 겹쳐서 올린다. 시집간 딸이 친정에 왔다가 돌아갈 때 친정에서는 큼직한 인절미를 만들어 보냈는데 이것을 ‘입마개떡’이라 불렀다 한다. 즉 딸에게는 시집에서 입에다 지퍼 잠그고 살라는 뜻이고 시댁에는 우리 딸이 허물이 좀 있어도 너그러이 봐달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덩어리지고 쫄깃쫏깃한 식감 때문에 소화가 잘 안 될 것 같지만 의외로 소화가 잘 되는 식품으로 꼽힌다.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 가운데는 인절미를 아침으로 먹는 것을 나름대로의 건강법으로 여기는 이들도 종종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꼭꼭 잘 씹어서 먹을 때의 얘기지, 제대로 안 씹고 꿀떡 삼키면 소화에 좋을 거 없다. 달리 보면 적당히 덩어리져 있고 쫄깃하니까 꼭꼭 씹어먹기 좋아서 소화가 잘 된다고 여기는 것일지도.
덩어리지고 쫄깃쫏깃한 식감 때문에 소화가 잘 안 될 것 같지만 의외로 소화가 잘 되는 식품으로 꼽힌다.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 가운데는 인절미를 아침으로 먹는 것을 나름대로의 건강법으로 여기는 이들도 종종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꼭꼭 잘 씹어서 먹을 때의 얘기지, 제대로 안 씹고 꿀떡 삼키면 소화에 좋을 거 없다. 달리 보면 적당히 덩어리져 있고 쫄깃하니까 꼭꼭 씹어먹기 좋아서 소화가 잘 된다고 여기는 것일지도.

2015년 11월 1일 (일) 07:08 판

방금 만든 인절미. 기본 인절미와 쑥 인절미.

의 일종.

찹쌀로 밥을 지은 다음 절구에 넣고 떡메로 계속 쳐대면서 검열삭제 쫄깃함을 최대한 끌어올린 반죽을 만든 다음. 한입 크기로 썰어내어 고물을 묻혀 만든다. 반죽에 쑥 같은 것을 넣기도 한다. 고물로는 볶은 설탕을 곱게 갈아서 만든 콩고물이 가장 널리 쓰인다. 그밖에 지방에 따라서는 팥고물을 쓰는 곳도 있다. 그래도 가장 널리 먹는 인절미는 쌀로만 만들거나 쑥을 섞은 반죽에 콩고물을 묻힌 것. 인절미라고 하면 누구가 이것을 떠올릴 것이다.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인조가 붙인 이름이라는 것. 당시 이괄의 난 때문에 피난을 갔던 무능의 아이콘 인조가 충남 공주에 이르렀을 때, 우성면 목천리의 임씨 집에서 인조에게 푸짐한 음식을 진상해 올렸다고 한다. 이 중에서 유득 인조가 꽂힌 것은 콩고물을 묻힌 떡. 배고픈 왕이 입에 콩고물이 덕지덕지 묻든 말든 체면이고 지랄이고 떡을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다고 한다. 인조가 그 이름을 물으니 다들 우물쭈물 하면서 답을 못했다. 특별한 이름이 없었기 때문. 인조는 "그것 참 절미(絶味)로다!" 하고 연신 칭찬을 아끼지 않았는데, 임씨 집안에서 만든 절미란 뜻으로 임절미(林絶味)라고 했다가 이게 변해서 인절미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설은 여러 가지로 헛점이 많은데, 과연 이런 종류의 이 그때서야 부각됐겠느냐 하는 것이다. 떡 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인절마는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졌을 텐데 이 떡에 이름이 없었다는 것도 좀 이상하고, 인조라는 왕이 무능의 극치를 달려서 백성들에게 영 인기가 꽝이었는데, 반란도 제대로 제압 못하고 도망 나온 주제에 떡 하나 먹고 '절미' 어쩌고 저쩌고 한 게 떡의 이름으로 굳어졌다니, 이것 역시도 이해가 안 가는 대목.

또 다른 설은 덜 알려져 있지만 좀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반죽을 길게 자른 다음 늘려서 굴린 다음 한 입 크기로 자르는 모습에서 당겨서 자른 쌀(또는 떡)이란 듯으로 '引絶米(餠)'이라고 했다는 설. 아마 이쪽 설이 힘을 얻기는 힘들 거다. 일단 공주시에서 앞의 설을 가지고 인절미 축제를 요란하게 벌이고 있는데 가만히 있겠냐고.

제삿상이나 혼레상에는 꼭 올라가는 아이템 가운데 하나인데, 이 때 쓰는 떡은 한입 크기로 자르지 않고 접시를 뒤덮을 정도로 넓게 자른 것을 몇 겹 겹쳐서 올린다. 시집간 딸이 친정에 왔다가 돌아갈 때 친정에서는 큼직한 인절미를 만들어 보냈는데 이것을 ‘입마개떡’이라 불렀다 한다. 즉 딸에게는 시집에서 입에다 지퍼 잠그고 살라는 뜻이고 시댁에는 우리 딸이 허물이 좀 있어도 너그러이 봐달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덩어리지고 쫄깃쫏깃한 식감 때문에 소화가 잘 안 될 것 같지만 의외로 소화가 잘 되는 식품으로 꼽힌다.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 가운데는 인절미를 아침으로 먹는 것을 나름대로의 건강법으로 여기는 이들도 종종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꼭꼭 잘 씹어서 먹을 때의 얘기지, 제대로 안 씹고 꿀떡 삼키면 소화에 좋을 거 없다. 달리 보면 적당히 덩어리져 있고 쫄깃하니까 꼭꼭 씹어먹기 좋아서 소화가 잘 된다고 여기는 것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