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와모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泡盛。
泡盛。


[[일본]] [[소주]]의 일종으로 [[오키나와]]에서 만드는 쌀[[소주]]를 뜻한다. 원래는 이쪽 말고도 아마미오오지마 쪽의 흑설탕 원료 소주도 아와모리라는 말을 썼지만 요즈음은 그냥 아마미 흑당소주 쪽을 밀고 있어서 이제는 아와모리=[[오키나와]] [[소주]]가 되었다. 다른 지역의 쌀[[소주]]와는 다른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서 [[오키나와]]는 물론 타지에서도 인지도가 상당하다.
[[일본]] [[소주]]의 일종으로 [[오키나와현]] 일대에서 만드는 쌀[[소주]]를 뜻한다. 원래는 이쪽 말고도 아마미오오지마 쪽의 [[흑설탕]] 원료 소주도 아와모리라는 말을 썼지만 요즈음은 그냥 아마미 흑당소주 쪽을 밀고 있어서 이제는 아와모리=[[오키나와]] [[소주]]가 되었다. 다른 지역의 쌀[[소주]]와는 다른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서 [[오키나와]]는 물론 타지에서도 인지도가 상당하다.


독특한 점은 주 재료인 [[쌀]]이 수입산이라는 것. 원래 [[오키나와]]는 쌀농사가 잘 안 되는.토질이라 류큐왕국 시절부터 [[쌀]]을 많이 수입했는데, 그래서 지금도 아와모리는 [[태국]]산 쌀을 재료로 한다. 이 때 쌀과 함께 술을 증류하는 기술도 [[아랍]]에서 [[태국]]을 거쳐 유입이 되면서 [[오키나와]]에서 [[쌀]]을 원료로 [[소주]]를 만들기 시작한 게 아와모리의 유래다. 대략 15세기 말부터 [[소주]]를 만들었을 정도로 역사가 꽤 긴 편이며, 중국과 일본의 권력층에게 납품될 정도로 일찌감치 인기가 좋았다. 조선조 세조 때에도 [[오키나와]] [[소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증류 기술이 위로 올라가서 [[큐슈]] 쪽에 확산되면서 [[큐슈]] 전역으로 [[소주]] 문화가 퍼진 것으로 보인다.  
독특한 점은 주 재료인 [[쌀]]이 수입산이라는 것. 원래 [[오키나와]]는 쌀농사가 잘 안 되는.토질이라 류큐왕국 시절부터 [[쌀]]을 많이 수입했는데, 그래서 지금도 아와모리는 [[태국]]산 쌀을 재료로 한다. 이 때 쌀과 함께 술을 증류하는 기술도 [[아랍]]에서 [[태국]]을 거쳐 유입이 되면서 [[오키나와]]에서 [[쌀]]을 원료로 [[소주]]를 만들기 시작한 게 아와모리의 유래다. 대략 15세기 말부터 [[소주]]를 만들었을 정도로 역사가 꽤 긴 편이며, 중국과 일본의 권력층에게 납품될 정도로 일찌감치 인기가 좋았다. 조선조 세조 때에도 [[오키나와]] [[소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증류 기술이 위로 올라가서 [[큐슈]] 쪽에 확산되면서 [[큐슈]] 전역으로 [[소주]] 문화가 퍼진 것으로 보인다. 즉 아와모리야말로 [[일본]] [[소주]]의 원조격이며, 물론 [[오키나와]]에서도 이를 적극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일본산 쌀이 아니라 싸구려 태국산으로 만든 소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또는 일본과 먹는 품종이 달라서 그렇지 태국산은 절대 싸구려 쌀이 아니다. 오히려 [[태국]]산 안남미를 써야 아와모리 특유의 스타일이 잘 나온다. 일본산 쌀을 쓰는 곳도 있긴 하지만 뭔가 [[안남미]]로 만들었을 때의 독특한 향미는 안 나오나보다. 또한 다른 [[소주]]는 [[니혼슈]]처럼 입국이 들어간 [[누룩]]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아와모리는 흑국균이 들어간 검은 [[누룩]]을 [[발효]]에 쓴다.
일본산 쌀이 아니라 싸구려 [[태국]]산으로 만든 [[소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또는 [[일본]]과 먹는 품종이 달라서 그렇지 [[태국]]산은 절대 싸구려 쌀이 아니다. 오히려 [[태국]]산 안남미를 써야 아와모리 특유의 스타일이 잘 나온다. 일본산 쌀을 쓰는 곳도 있긴 하지만 뭔가 [[안남미]]로 만들었을 때의 독특한 향미는 안 나오나보다. 또한 다른 [[소주]]는 [[니혼슈]]처럼 입국이 들어간 [[누룩]]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아와모리는 흑국균이 들어간 검은 [[누룩]]을 [[발효]]에 쓴다.


[[오키나와]] 일대에서는 아열대 기후 답게 [[사탕수수]]도 생산되는데, 아와모리 말고도 [[사탕수수]]를 이용한 흑당 [[소주]]도 유명하다.
[[오키나와]] 일대에서는 아열대 기후 답게 [[사탕수수]]도 생산되는데, 아와모리 말고도 [[사탕수수]]를 이용한 흑당 [[소주]]도 유명하다. [[아마미오오지마]]와 [[이시가키]]가 흑당 소주로 유명하다.

2019년 6월 26일 (수) 05:14 판

泡盛。

일본 소주의 일종으로 오키나와현 일대에서 만드는 쌀소주를 뜻한다. 원래는 이쪽 말고도 아마미오오지마 쪽의 흑설탕 원료 소주도 아와모리라는 말을 썼지만 요즈음은 그냥 아마미 흑당소주 쪽을 밀고 있어서 이제는 아와모리=오키나와 소주가 되었다. 다른 지역의 쌀소주와는 다른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서 오키나와는 물론 타지에서도 인지도가 상당하다.

독특한 점은 주 재료인 이 수입산이라는 것. 원래 오키나와는 쌀농사가 잘 안 되는.토질이라 류큐왕국 시절부터 을 많이 수입했는데, 그래서 지금도 아와모리는 태국산 쌀을 재료로 한다. 이 때 쌀과 함께 술을 증류하는 기술도 아랍에서 태국을 거쳐 유입이 되면서 오키나와에서 을 원료로 소주를 만들기 시작한 게 아와모리의 유래다. 대략 15세기 말부터 소주를 만들었을 정도로 역사가 꽤 긴 편이며, 중국과 일본의 권력층에게 납품될 정도로 일찌감치 인기가 좋았다. 조선조 세조 때에도 오키나와 소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증류 기술이 위로 올라가서 큐슈 쪽에 확산되면서 큐슈 전역으로 소주 문화가 퍼진 것으로 보인다. 즉 아와모리야말로 일본 소주의 원조격이며, 물론 오키나와에서도 이를 적극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일본산 쌀이 아니라 싸구려 태국산으로 만든 소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또는 일본과 먹는 품종이 달라서 그렇지 태국산은 절대 싸구려 쌀이 아니다. 오히려 태국산 안남미를 써야 아와모리 특유의 스타일이 잘 나온다. 일본산 쌀을 쓰는 곳도 있긴 하지만 뭔가 안남미로 만들었을 때의 독특한 향미는 안 나오나보다. 또한 다른 소주니혼슈처럼 입국이 들어간 누룩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아와모리는 흑국균이 들어간 검은 누룩발효에 쓴다.

오키나와 일대에서는 아열대 기후 답게 사탕수수도 생산되는데, 아와모리 말고도 사탕수수를 이용한 흑당 소주도 유명하다. 아마미오오지마이시가키가 흑당 소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