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내위키
- ...어마어마한 차이로 느리다.</ref>컴퓨터의 [[CPU]]나 램이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에 비하면 무지무지무지하게 느려서, 아무리 컴퓨터 제원을 빠방하게 해도 [[HDD]] 때문에 병목현상이 생겼다. 그런데 SSD는 반도체 메모리다. 물론 컴퓨터의 램보다는 느리지만 물리적 ...많은 자잘한 파일을 읽어들이는데 그 때문에 SSD를 장착한 컴퓨터의 시동 속도가 훠얼씬 빠르다. [[HDD]] 쓰다가 SSD로 바꾸고 컴퓨터 켜보면 정말 눈 깜짝할 새에 시작 화면이 뜨는 느낌이다. 이제는 SATA 인터페이스로는 지원이 한계에 다다를 정도로 속도가 빨라졌기 때 ...6 KB (41 단어) - 2021년 10월 3일 (일) 14:36
- ...디스크를 갈아끼울 수 없다. 케이스는 단단히 밀봉되어 있다. 보통은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외부 연결 포트를 이용해서 컴퓨터 외부에 있는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서 쓸 수 있으며 흔히 '외장 하드디스크', 줄여서 '외장 하드'라고 부른다. 대용량 파일을 보관하거나 ...등장하면서 데이터 입출력의 병목 현상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고, 이는 전체적인 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졌다.<ref>하지만 SSD 조차도 컴퓨터 메모리, 즉 DRAM보다는 많이 느리기 때문에 입출력 병목현상 문제가 사라진 건 아니다.</ref> 하지만 여전히 같은 용량이라면 하드 ...6 KB (53 단어) - 2025년 3월 9일 (일) 10:15
- ...리어]]를 쓸 수밖에 없었고, [[어셈블리어]]는 하드웨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식성도 영 꽝이었다. 그에 반해 C는 포인터를 통해 하드웨어 메모리를 직접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했다. 고급 언어와 하드웨어의 밀착성이 확 좋아진 것이다. 한술 더 떠서 볼랜드의 터보 C는 아예 C ...있지는 않다.</ref> 현대 언어들에 비하면 진입장벽이 높지만 일단 잘 배워놓으면 수요도 많고 급여 조건도 높다. 따라서 대학교의 컴퓨터 관련 학과에서는 여전히 C를 필수로 가르치고 있다. ...11 KB (130 단어) - 2023년 2월 9일 (목) 05:28
- 컴퓨터 또는 컴퓨터 안의 데이터를 인질로 잡고 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다. 기껏해야 프로그램 따위가 내 컴퓨터를 들고 튀는 것도 아니고, 어떻게 컴퓨 ...돈을 내라고 협박할 수도 있다. 돈을 안 주려면 [[하드디스크]]를 싹 밀고 운영체제를 다시 깔지 않고서는 컴퓨터를 쓸 수 없으므로 컴퓨터 안의 파일도 몽땅 날아간다. 좀더 악질적인 랜섬웨어는 시간 제한을 걸어놓고 이 안에 돈을 안 보내면 몸값을 두 배로 올리는 식으로 상대 ...6 KB (45 단어) - 2023년 7월 24일 (월) 12:58
- ==컴퓨터 운영체제의 멀티태스킹== 아예 하드웨어 수준에서 멀티스레드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위에서 말한 소프트웨어의 멀티스레드와는 달리, 아예 CPU가 실제 코어 수보다 많게 ...9 KB (33 단어) - 2022년 10월 24일 (월) 12:54
- 윈도우 8이 망작이 된 가장 큰 이유를 꼽으려면 아무래도 유저 인터페이스다.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 맞추기 위해서 새롭게 들고 나온 [[메트로 UI]]가 [[마우스]] 위주의 환경에도, [[터치스크린]] 위주의 환경에도 착 달라 윈도우 8 출시가 한참 지났는데도 컴퓨터 제조사들이 [[윈도우 7]] [[다운그레이드]] 옵션을 계속 제공하는가 하면, 아예 [[윈도우 7]]을 기본 설치고 출시한 컴퓨터가 늘 ...4 KB (17 단어) - 2022년 10월 1일 (토) 11:27
- ...다. 예전에는 데스크톱용 윈도우와 윈도우 모바일의 커널이 따로따로 개발되었지만 이제는 똑같은 [[커널]]로 단지 사용하는 프로세서 및 하드웨어 환경에 맞도록 컴파일만 다시 해 주면 되는 것이다. 다만 윈도우 모바일이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된지라 모바일 쪽으로는 별 의미가 없으나, 실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 보면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약 2.7GB 정도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컴퓨터 제원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 30~40분 쯤 걸린다. 파일이나 프로그램은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별 걱정할 건 없지만 그래도 만약을 위해 ...7 KB (70 단어) - 2022년 12월 16일 (금) 01:14
- [[핀란드]]의 [[리누스 토르발스]]가 헬싱키대학교에 다니던 시절에 <del>자일리톨껌 씹으면서</del> 만든 컴퓨터 [[운영체제]]. 정확히 말하면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한 것은 운영체제의 심장부가 되는 커널이었다. 당시 앤드류 타넨바움 교수가 ...들었던 앤드류 타넨바움이 벌인 논쟁은 아주 유명한 얘기다. 시간이 흘러도 리눅스는 여전히 [[모놀리식 커널]]이지만 [[윈도우]]처럼 하드웨어 드라이버만 넣어주면 인식하니까 훨씬 편해졌다. ...12 KB (96 단어) - 2022년 5월 5일 (목) 15:22
- ...가 원본과 완벽하게 똑같지는 않을 가능성은 있다. 버그가 없다는 가정으로, 이러한 차이는 직렬화를 한 플랫폼과 역직렬화를 한 플랫폼에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소프트웨어에 차이가 있어서일 수도 있고, 직렬화 형식에 한계가 있어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아마 화면에 'Author@2a139a55' 같은 식으로 'Author@' 뒤에 john 객체의 해시 코드가 출력될 것이다. 즉, 컴퓨터 메모리에는 newBook.author는 john 객체의 [[포인터]]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이 데이터를 직렬화해 봐야 아무 소용 없을 ...10 KB (219 단어) - 2023년 5월 26일 (금)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