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새 문서: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맑지 않고 뿌연 모습을 한 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좁은 의미로는 막걸리를 뜻하지만 막걸리 말고도 침전물...)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맑지 않고 뿌연 모습을 한 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맑지 않고 뿌연 모습을 한 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술은 기본적으로 곡물이나 과일을 사용하는데 당분 혹은 당화된 전분이 빠져나간 재료들은 찌꺼기로 남는다. 이런 찌꺼기는 무겁기 때문에 그냥 가만히 놓아두면 바닥에 가라앉는다. 침전물이 다시 뜨지 않도록 술만 따라내면 맑은 술을 얻을 수 있지만 탁주는 침전물을 거르지 않고 그냥 마신다. 따라서 걸러낸 술에 비해 색깔이 뿌옇고 걸쭉하다.


좁은 의미로는 [[막걸리]]를 뜻하지만 [[막걸리]] 말고도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뿌연 술은 동서양에 걸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일본의 [[니혼슈]] 중에도 우리나라의 막걸리와 비슷한 [[니고리자케]]가 있고, [[맥주]]나 [[와인]]도 옛날에는 탁하고 걸쭉한 상태로 마셨다. 스파클링 와인은 병 안에서 [[효모]]의 2차 발효로 탄산가스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병 안에 [[효모]] 찌꺼기가 남아 있었고, [[뵈브클리코]]가 탄산가스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병 안의 [[효모]]를 제거하는 샹파뉴 방식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그냥 뿌연 상태로 마셨다.
좁은 의미로는 [[막걸리]]를 뜻하지만 [[막걸리]] 말고도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뿌연 술은 동서양에 걸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일본의 [[니혼슈]] 중에도 우리나라의 막걸리와 비슷한 [[니고리자케]]가 있고, [[맥주]]나 [[와인]]도 옛날에는 탁하고 걸쭉한 상태로 마셨다. 스파클링 와인은 병 안에서 [[효모]]의 2차 발효로 탄산가스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병 안에 [[효모]] 찌꺼기가 남아 있었고, [[뵈브클리코]]가 탄산가스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병 안의 [[효모]]를 제거하는 샹파뉴 방식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그냥 뿌연 상태로 마셨다.
침전물을 걸러내도 술의 원래 특성 때문에 뿌옇게 보이는 술도 있는데 이런 건 탁주로 보지 않는다. [[밀맥주]]는 밀에 들어있는 [[단백질]] 성분 때문에 침전물을 가라앉혀도 뿌옇게 보인다. 맑은 술을 만들려면 필터로 걸러내야 한다. 레드 와인이나 [[흑맥주]]처럼 색깔이 짙어서 맑지 않아 보이는 것도 있는데 실제로는 밀을 사용한 흑맥주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맑은 술이다.

2021년 10월 16일 (토) 10:46 판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맑지 않고 뿌연 모습을 한 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술은 기본적으로 곡물이나 과일을 사용하는데 당분 혹은 당화된 전분이 빠져나간 재료들은 찌꺼기로 남는다. 이런 찌꺼기는 무겁기 때문에 그냥 가만히 놓아두면 바닥에 가라앉는다. 침전물이 다시 뜨지 않도록 술만 따라내면 맑은 술을 얻을 수 있지만 탁주는 침전물을 거르지 않고 그냥 마신다. 따라서 걸러낸 술에 비해 색깔이 뿌옇고 걸쭉하다.

좁은 의미로는 막걸리를 뜻하지만 막걸리 말고도 침전물을 거르지 않아 뿌연 술은 동서양에 걸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일본의 니혼슈 중에도 우리나라의 막걸리와 비슷한 니고리자케가 있고, 맥주와인도 옛날에는 탁하고 걸쭉한 상태로 마셨다. 스파클링 와인은 병 안에서 효모의 2차 발효로 탄산가스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병 안에 효모 찌꺼기가 남아 있었고, 뵈브클리코가 탄산가스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병 안의 효모를 제거하는 샹파뉴 방식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그냥 뿌연 상태로 마셨다.

침전물을 걸러내도 술의 원래 특성 때문에 뿌옇게 보이는 술도 있는데 이런 건 탁주로 보지 않는다. 밀맥주는 밀에 들어있는 단백질 성분 때문에 침전물을 가라앉혀도 뿌옇게 보인다. 맑은 술을 만들려면 필터로 걸러내야 한다. 레드 와인이나 흑맥주처럼 색깔이 짙어서 맑지 않아 보이는 것도 있는데 실제로는 밀을 사용한 흑맥주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맑은 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