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우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굳힌 것. [[요구르트]] 굳힌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물론 오만 가지 다양한 제조법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수천가지 종류의 치즈가 있다.
[[우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굳힌 것. [[요구르트]] 굳힌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우유]]의 처리, 사용하는 [[유산균]]과 [[곰팡이]], 제조법, 숙성법, 첨가 재료, <s>방부제와 식용색소</s>에 따라 [[유럽]]을 중심으로 수천가지 종류의 치즈가 있다.  


자주 나오는 [[떡밥]] 중 하나가 [[치즈]]와 [[와인]]의 궁합이다. 치즈야말로 와인과 가장 잘 어울리는 [[안주]]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언제부터인가 몇몇 '전문가' 타이틀 단 사람들이 '뭔 소리냐 와인에 치즈는 꽝이다' 하고 주장하고 나섰다. 예를 들어 []와인]]에 관한 만화책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을 낸 이원복은 <경향신문>의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와인]]하고 [[치즈]]를 같이 먹는 서양 사람은 본적이 없어.'라고 말했다. <s>도대체 여태껏 누굴 봐 왔단 말인가.</s>
자주 나오는 [[떡밥]] 중 하나가 [[치즈]]와 [[와인]]의 궁합이다. 치즈야말로 와인과 가장 잘 어울리는 [[안주]]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언제부터인가 몇몇 '전문가' 타이틀 단 사람들이 '뭔 소리냐 와인에 치즈는 꽝이다' 하고 주장하고 나섰다. 예를 들어 [[와인]]에 관한 만화책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을 낸 이원복은 <경향신문>의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와인]]하고 [[치즈]]를 같이 먹는 서양 사람은 본적이 없어.'라고 말했다. <s>그래서 사람은 인간관계가 폭넓어야 한다.</s>
 
이런 종류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치츠를 먹으면 와인의 맛이 사라져버린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치즈의 지방이 혀를 코팅해 버려서 와인의 맛을 제대로 못 느낀다는 것. 그럴싸해 보이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둘 다 뻘소리다. 치즈 말고 다른 것도 별로 다를 바가 없기 때문. 첫 번째 논리에 대해서는, 와인을 마시고 음식을 먹으면 다 그렇다.
 
다만 먹어보면 치즈에는 화이트 와인 쪽이 더 잘 맞는다는 건 쉽게 느낄 수 있다. 특히 부드럽고 크림 같은 치즈일수록 더욱 화이트 와인이 당긴다.

2015년 7월 11일 (토) 06:59 판

우유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굳힌 것. 요구르트 굳힌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우유의 처리, 사용하는 유산균곰팡이, 제조법, 숙성법, 첨가 재료, 방부제와 식용색소에 따라 유럽을 중심으로 수천가지 종류의 치즈가 있다.

자주 나오는 떡밥 중 하나가 치즈와인의 궁합이다. 치즈야말로 와인과 가장 잘 어울리는 안주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언제부터인가 몇몇 '전문가' 타이틀 단 사람들이 '뭔 소리냐 와인에 치즈는 꽝이다' 하고 주장하고 나섰다. 예를 들어 와인에 관한 만화책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을 낸 이원복은 <경향신문>의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와인하고 치즈를 같이 먹는 서양 사람은 본적이 없어.'라고 말했다. 그래서 사람은 인간관계가 폭넓어야 한다.

이런 종류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치츠를 먹으면 와인의 맛이 사라져버린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치즈의 지방이 혀를 코팅해 버려서 와인의 맛을 제대로 못 느낀다는 것. 그럴싸해 보이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둘 다 뻘소리다. 치즈 말고 다른 것도 별로 다를 바가 없기 때문. 첫 번째 논리에 대해서는, 와인을 마시고 음식을 먹으면 다 그렇다.

다만 먹어보면 치즈에는 화이트 와인 쪽이 더 잘 맞는다는 건 쉽게 느낄 수 있다. 특히 부드럽고 크림 같은 치즈일수록 더욱 화이트 와인이 당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