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자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새 문서: Palm oil. 팜유라는 이름으로 많이 부른다. 말 그대로 야자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전 세계 식물성 기름 생산량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0/2021년 소비량은 7천3백만 톤으로 2위 콩기름이 5천9백만 톤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위인 유채기름은 2천8백만 톤으로 저 멀리 한참 차이 난다.<ref>[https://apps.fas.usda.gov/psdonline/circulars/oil...)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Palm oil.
Palm oil.


팜유라는 이름으로 많이 부른다. 말 그대로 야자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전 세계 식물성 기름 생산량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0/2021년 소비량은 7천3백만 톤으로 2위 [[콩기름]]이 5천9백만 톤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위인 [[유채기름]]은 2천8백만 톤으로 저 멀리 한참 차이 난다.<ref>[https://apps.fas.usda.gov/psdonline/circulars/oilseeds.pdf "Oilseeds: World Markets and Trad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April 2022, pp. 12.</ref>
팜유라는 이름으로 많이 부른다. 말 그대로 야자나무, 그 중에서도 <del>이름만으로도 더 정확해지는</del> 기름야자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전 세계 식물성 기름 생산량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0/2021년 소비량은 7천3백만 톤으로 2위 [[콩기름]]이 5천9백만 톤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위인 [[유채기름]]은 2천8백만 톤으로 저 멀리 한참 차이 난다.<ref>[https://apps.fas.usda.gov/psdonline/circulars/oilseeds.pdf "Oilseeds: World Markets and Trad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April 2022, pp. 12.</ref>


올리브유와 마찬가지로 씨앗이 아닌 열매에서 기름을 짠다. 야자열매 씨앗으로 짜는 야자씨유(palm kernel oil)라고 따로 부른다. 생산량은 팜유보다 훨씬 적다.
올리브유와 마찬가지로 씨앗이 아닌 열매에서 기름을 짠다. 야자열매 씨앗으로 짜는 야자씨유(palm kernel oil)라고 따로 부른다. 생산량은 팜유보다 훨씬 적다.


팜유가 식물성 기름 생산량 1위를 기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뭐니뭐니해도 경제성이다. 같은 면적이라면 팜유의 생산량이 다른 식물성 기름보다 확실히 우월하다. 헥타르당 산출량은 [[콩기름]]이 0.4톤, [[코코넛기름]] 0.7톤, 해바라기씨유와 [[유채씨유]]가 각각 0.7톤인데 반해 팜유는 무려 3.3톤이다. 게임이 안 된다. 팜유가 열대우림 파괴와 그에 따른 오랑우탄 서식지 파괴에도 불구하고 환경단체들이 팜유의 전면 퇴출을 외치지 않는 이유는, 오히려 몇 가지 문제점을 제거한다면 팜유만큼 단위 면적 당 산출량이 뛰어난 식물성 기름이 없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팜유를 대체하자고 다른 작물을 심으면 훨씬 많은 농지가 필요하고 더 큰 환경파괴를 일으킬 수도 있다. 대표적인 국제 환경단체인 국제자연기금(WWF)도 팜유 퇴출은 답이 아니며, 문제점들을 더 빨리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ref>[https://www.wwf.org.uk/updates/8-things-know-about-palm-oil "8 THINGS TO KNOW ABOUT PALM OIL"], WWF-UK.</ref>
팜유가 식물성 기름 생산량 1위를 기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뭐니뭐니해도 경제성이다. 같은 면적이라면 팜유의 생산량이 다른 식물성 기름보다 확실히 우월하다. 헥타르당 산출량은 [[콩기름]]이 0.4톤, [[코코넛기름]] 0.7톤, 해바라기씨유와 [[유채씨유]]가 각각 0.7톤인데 반해 팜유는 무려 3.3톤이다. 게임이 안 된다. 팜유가 열대우림 파괴와 그에 따른 오랑우탄 서식지 파괴 문제에도 불구하고 환경단체들이 팜유의 전면 퇴출을 외치지 않는 이유는, 오히려 몇 가지 문제점을 제거한다면 팜유만큼 단위 면적 당 산출량이 뛰어난 식물성 기름이 없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팜유를 대체하자고 다른 작물을 심으면 훨씬 많은 농지가 필요하고 더 큰 환경파괴를 일으킬 수도 있다. 대표적인 국제 환경단체인 국제자연기금(WWF)도 팜유 퇴출은 답이 아니며, 문제점들을 더 빨리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ref>[https://www.wwf.org.uk/updates/8-things-know-about-palm-oil "8 THINGS TO KNOW ABOUT PALM OIL"], WWF-UK.</ref>


{{각주}}
{{각주}}

2022년 4월 30일 (토) 04:29 판

Palm oil.

팜유라는 이름으로 많이 부른다. 말 그대로 야자나무, 그 중에서도 이름만으로도 더 정확해지는 기름야자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전 세계 식물성 기름 생산량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0/2021년 소비량은 7천3백만 톤으로 2위 콩기름이 5천9백만 톤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위인 유채기름은 2천8백만 톤으로 저 멀리 한참 차이 난다.[1]

올리브유와 마찬가지로 씨앗이 아닌 열매에서 기름을 짠다. 야자열매 씨앗으로 짜는 야자씨유(palm kernel oil)라고 따로 부른다. 생산량은 팜유보다 훨씬 적다.

팜유가 식물성 기름 생산량 1위를 기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뭐니뭐니해도 경제성이다. 같은 면적이라면 팜유의 생산량이 다른 식물성 기름보다 확실히 우월하다. 헥타르당 산출량은 콩기름이 0.4톤, 코코넛기름 0.7톤, 해바라기씨유와 유채씨유가 각각 0.7톤인데 반해 팜유는 무려 3.3톤이다. 게임이 안 된다. 팜유가 열대우림 파괴와 그에 따른 오랑우탄 서식지 파괴 문제에도 불구하고 환경단체들이 팜유의 전면 퇴출을 외치지 않는 이유는, 오히려 몇 가지 문제점을 제거한다면 팜유만큼 단위 면적 당 산출량이 뛰어난 식물성 기름이 없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팜유를 대체하자고 다른 작물을 심으면 훨씬 많은 농지가 필요하고 더 큰 환경파괴를 일으킬 수도 있다. 대표적인 국제 환경단체인 국제자연기금(WWF)도 팜유 퇴출은 답이 아니며, 문제점들을 더 빨리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2]

각주

  1. "Oilseeds: World Markets and Trad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April 2022, pp. 12.
  2. "8 THINGS TO KNOW ABOUT PALM OIL", WWF-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