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엿기름]] 속에 들어 있는 [[당화효소]]가 [[밥]] 속의 [[녹말]]을 [[맥아당]]으로 바꿈으로써 단맛을 낸다. [[밥]]에서 상당량의 [[녹말]]이 빠지고 단백질과 섬유질 같은 다른 성분만 남게 되어 <del>[[골다공증]]</del> 무게가 많이 가벼워지며, 그 결과 밥이 둥둥 뜨게 된다. 이 밥이 식혜를 상징하는 아이콘과 같은 존재. 먹어보면 [[녹말]]이 빠져나간 [[섬유질]] 덩어리라 단맛도 별로 없고 질기고 퍽퍽한 느낌이지만 그래도 식혜를 뜰 때 밥알을 많이 넣어 먹는 사람들도 많다. <del>그냥 밥을 먹지 그래.</del>
[[엿기름]] 속에 들어 있는 [[당화효소]]가 [[밥]] 속의 [[녹말]]을 [[맥아당]]으로 바꿈으로써 단맛을 낸다. [[밥]]에서 상당량의 [[녹말]]이 빠지고 단백질과 섬유질 같은 다른 성분만 남게 되어 <del>[[골다공증]]</del> 무게가 많이 가벼워지며, 그 결과 밥이 둥둥 뜨게 된다. 이 밥이 식혜를 상징하는 아이콘과 같은 존재. 먹어보면 [[녹말]]이 빠져나간 [[섬유질]] 덩어리라 단맛도 별로 없고 질기고 퍽퍽한 느낌이지만 그래도 식혜를 뜰 때 밥알을 많이 넣어 먹는 사람들도 많다. <del>그냥 밥을 먹지 그래.</del>


우리나라는 옛날에는 [[맥주]]는 안 만들어도 [[엿기름]], 곧 [[맥아]]로 [[엿]]과 식혜를 만들어 먹었는데, 뭔가 [[동동주]]와 비슷하다고 생각한 건지 나이든 분들은 단술 혹은 감주(甘酒)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는 옛날에는 [[맥주]]는 안 만들어도 [[엿기름]], 곧 [[맥아]]로 [[엿]]과 식혜를 만들어 먹었는데, 뭔가 [[동동주]]와 비슷하다고 생각한 건지 나이든 분들은 단술 혹은 감주(甘酒)라고도 부른다.<ref>[[일본]]에도 아마자케(甘酒)라는 게 있는데, 이쪽은 [[니혼슈]]를 만들고 남은 지게미에 [[설탕]]을 넣어서 끓여 [[알코올]]을 날려버린 음료다.</ref>


[[밥]]과 [[엿기름]]으로만 식혜에 필요한 단맛을 내려면 엄청난 양의 밥을 투입해야 하므로, 보통은 [[설탕]]으로 단맛을 보충한다. 직접 만들어 보면 [[설탕]]이 은근히 많이 들어간다.
[[밥]]과 [[엿기름]]으로만 식혜에 필요한 단맛을 내려면 엄청난 양의 밥을 투입해야 하므로, 보통은 [[설탕]]으로 단맛을 보충한다. 직접 만들어 보면 [[설탕]]이 은근히 많이 들어간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여름에 더울 때 시원하게 마시는 음료라는 생각을 많이 하지만 옛날에는 냉장고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해서 날이 차가울 때 즐겨 먹던 음료였다.
여름에 더울 때 시원하게 마시는 음료라는 생각을 많이 하지만 옛날에는 냉장고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해서 날이 차가울 때 즐겨 먹던 음료였다.
캔이나 페트병 음료로도 나와 있다. 비락에서 만든 비락식혜가 시초격으로 이 제품이 크게 히트를 치면서<ref>자매품으로 [[수정과]]도 내놓았지만 식혜만큼의 히트는 치지 못했다.</ref> 음료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식혜 제품을 내놓았다. 인기는 많이 식은 편이지만 그래도 찾는 사람들이 웬만큼은 있는지 여전히 여러 회사의 제품들이 팔리고 있다.
{{각주}}
[[Category:한국음식]]

2021년 6월 9일 (수) 21:18 판

엿기름, 설탕으로 만드는 음료로 수정과와 함께 후식으로 먹는 우리나라의 전통 음료 가운데 하나. 식해와는 다르다, 식해와는!

엿기름 속에 들어 있는 당화효소 속의 녹말맥아당으로 바꿈으로써 단맛을 낸다. 에서 상당량의 녹말이 빠지고 단백질과 섬유질 같은 다른 성분만 남게 되어 골다공증 무게가 많이 가벼워지며, 그 결과 밥이 둥둥 뜨게 된다. 이 밥이 식혜를 상징하는 아이콘과 같은 존재. 먹어보면 녹말이 빠져나간 섬유질 덩어리라 단맛도 별로 없고 질기고 퍽퍽한 느낌이지만 그래도 식혜를 뜰 때 밥알을 많이 넣어 먹는 사람들도 많다. 그냥 밥을 먹지 그래.

우리나라는 옛날에는 맥주는 안 만들어도 엿기름, 곧 맥아과 식혜를 만들어 먹었는데, 뭔가 동동주와 비슷하다고 생각한 건지 나이든 분들은 단술 혹은 감주(甘酒)라고도 부른다.[1]

엿기름으로만 식혜에 필요한 단맛을 내려면 엄청난 양의 밥을 투입해야 하므로, 보통은 설탕으로 단맛을 보충한다. 직접 만들어 보면 설탕이 은근히 많이 들어간다.

전기압력밥솥이 아닌 일반 전기밥솥, 혹은 식혜 만들기 기능이 제공되는 전기압력밥솥이 있다면 어렵지 않게 식혜를 만들 수 있다. 먹다 남은 밥이 있으면 더 좋다. 찹쌀로도 만들 수 있다. 찹쌀이 녹말 함량이 더 많아서 좀더 농도가 있는 식혜를 만들 수는 있는데 밥알이 무지 질기다.

  1. 슈퍼마켓에서 엿기름 한봉지를 산다.
  2. 엿기름을 양푼에 담고 따뜻한 물을 붓고 잠시 놔둔다.
  3. 엿기름이 불면 엿기름을 주물주물 잘 이긴 다음. 고운 채로 물만 걸러낸다.
  4. 한두 시간 놔두면 찌꺼기가 가라 앉는다. 조심조심 맑은 물만 따라내자.
  5. 밥솥에 밥 한 공기를 넣고 엿기름 우려낸 물을 부은 다음, 보온으로 놔두고 6~7시간 놔둔다.
  6. 밥솥을 열어보았을 때 밥알이 둥둥 떠 있으면 밥알은 체로 거르고 큰 냄비에 물만 따라낸 다음 한소금 끓인다.
  7. 끓이면서 설탕으로 단맛을 보충하고, 취향에 따라 생강을 한두 쪽 넣어서 은은한 향미가 나게 해도 좋다.
  8. 한편 체로 거른 밥은 물에 씻어 줘야 밥알이 둥둥 잘 뜬다.
  9. 식힌 다음 밥솥에 남은 밥알을 일부 넣어서 보관한다.

당분이 많아서 은근히 칼로리가 높으니 너무 많이 마시고 후회하지 말자. '많이 마시면 속을 깎는다'는 속설이 있다.

여름에 더울 때 시원하게 마시는 음료라는 생각을 많이 하지만 옛날에는 냉장고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해서 날이 차가울 때 즐겨 먹던 음료였다.

캔이나 페트병 음료로도 나와 있다. 비락에서 만든 비락식혜가 시초격으로 이 제품이 크게 히트를 치면서[2] 음료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식혜 제품을 내놓았다. 인기는 많이 식은 편이지만 그래도 찾는 사람들이 웬만큼은 있는지 여전히 여러 회사의 제품들이 팔리고 있다.

각주

  1. 일본에도 아마자케(甘酒)라는 게 있는데, 이쪽은 니혼슈를 만들고 남은 지게미에 설탕을 넣어서 끓여 알코올을 날려버린 음료다.
  2. 자매품으로 수정과도 내놓았지만 식혜만큼의 히트는 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