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뭇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름 그대로, [[소고기]]와 무를 주 재료로 하는 국물요리.
이름 그대로, [[소고기]]와 무를 주 재료로 하는 국물요리.


그냥 '고깃국'이라도 부른다. '고깃국'을 넓은 범위로 해석하면 고기를 넣어서 끓인 국물요리로 확장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각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냥 '고깃국'이라고 하면 보통은 소고기뭇국을 뜻한다. 넓은 범위의 고깃국은 고기로 국물을 낸다는 점에서 [[육수]]라고 할 수 있으나, [[육수]]는 다른 요리의 재료로 쓰이는 반면 고깃국은 그 자체로 하나의 요리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또한 [[육수]]는 육고기, 해산물을 아우르며 요즈음은 [[고기]] 없이 [[채소]]만 가지고 만든 것도 채소[[육수]]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반면 고깃국은 육고기를 사용한 것만을 지칭한다. [[사골]]이나 잡뼈를 주재료로 한 것도 고깃국이라고는 부르지 않는다. 내장탕이나 [[순댓국]]처럼 살코기가 아닌 내장을 주 재료로 끓인 것도 고깃국이라고는 부르지 않으며, [[찌개]]나 [[전골]]도 물론 제외.
그냥 '[[고깃국]]'이라도 부른다. [[고깃국]]을 넓은 범위로 해석하면 [[고기]]를 넣어서 끓인 다양한 국물요리로 확장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각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얘기 없이 그냥 '[[고깃국]]'이라고 하면 보통은 소고기뭇국을 뜻한다.


범위를 좁히면 [[소고기]] 살코기를 끓인 것, 그 중에서도 무를 썰어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춘 것을 주로 고깃국으로 지칭한다. [[돼지고기]]나 [[닭고기]]의 살코기로 국물을 낸 음식은 일부 지역<ref>예를 들어 제주도는 소가 귀했고 주로 돼지를 키웠기 때문에 [[돼지고기]]로 국물을 내는 음식이 많다. 제주도의 향토음식인 [[고사리 육개장]]도 [[소고기]]가 아닌 [[돼지고기]]를 넣는다</ref>을 제외하면 좀처럼 보기 힘들다. [[소고기]]는 주로 양지, 사태와 같은 국거리 부위를 주로 쓰며, 무를 썰어서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추어 은근한 불에 오래 끓여서 국물을 낸다. 그냥 날고기를 넣어서 끓이면 국물이 잘 우러나지 않기 때문에 한번 볶아서 익힌 다음 물을 넣고 끓이지만 그래도 30분 이상은 끓여줘야 제맛이 난다. 여기에 대파, 마늘을 넣고 먹을 때에는 그냥 먹거나 후추를 뿌려 먹기도 한다. 소고기뭇국은 제삿상에도 올라가는 단골 음식이다.<ref>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특정한 국을 올릴 수도 있으나,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대체로 소고기뭇국을 올린다.</ref> 다른 수식 없이 그냥 고깃국이라고 하면 보통은 이 소고기뭇국을 가리킨다.
[[소고기]]는 주로 양지, 사태와 같은 국거리 부위를 주로 쓰며, 무를 썰어서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추어 은근한 불에 오래 끓여서 국물을 낸다. 그냥 날고기를 넣어서 끓이면 국물이 잘 우러나지 않기 때문에 한번 볶아서 익힌 다음 물을 넣고 끓이지만 그래도 30분 이상은 끓여줘야 제맛이 난다.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고 먹을 때에는 그냥 먹거나 느끼한 맛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후추]]를 뿌려 먹기도 한다. 소고기뭇국은 제삿상에도 올라가는 단골 음식이다.<ref>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특정한 국을 올릴 수도 있으나,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대체로 소고기뭇국을 올린다.</ref>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부권은 그냥 [[국간장]]과 [[소금]] 정도만 사용하지만 경상도 쪽으로 가면 [[고춧가루]]를 넣어서 얼큰한 맛을 낸다. 이것으로 [[국밥]]을 말아 먹는데, '소고기국밥'이라고 하면 이런 종류의 소고기뭇국을 사용하며, 경상도를 넘어 서울을 비롯한 전국으로 퍼져 있다.


북한 김일성이 천리마운동을 선언할 때 "우리 인민은 모두가 다 기와집에서 이밥에 고기국을 먹으며 비단옷을 입고 사는 부유한 생활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라는 말을 했는데 남북한의 생활 수준이 역전되고 북한의 민생이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북한의 피폐한 경제를 비웃는 표현으로 남쪽에서 많이 써먹은 바 있다. 80년대 쯤이면 남쪽은 웬만하면 쌀밥에 고깃국은 어렵잖게 먹었고 도시는 아파트, 농어촌은 슬레이트 지붕이 보편화 되어 있었는데, 북쪽은 언제나 60년대에 부르짖었던 이밥에 고깃국 먹는 생활을 할 거냐는 비아냥인 것.
북한 김일성이 천리마운동을 선언할 때 "우리 인민은 모두가 다 기와집에서 이밥에 고기국을 먹으며 비단옷을 입고 사는 부유한 생활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라는 말을 했는데 남북한의 생활 수준이 역전되고 북한의 민생이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북한의 피폐한 경제를 비웃는 표현으로 남쪽에서 많이 써먹은 바 있다. 80년대 쯤이면 남쪽은 웬만하면 쌀밥에 고깃국은 어렵잖게 먹었고 도시는 아파트, 농어촌은 슬레이트 지붕이 보편화 되어 있었는데, 북쪽은 언제나 60년대에 부르짖었던 이밥에 고깃국 먹는 생활을 할 거냐는 비아냥인 것.


{{각주}}
{{각주}}

2021년 10월 17일 (일) 16:10 판

이름 그대로, 소고기와 무를 주 재료로 하는 국물요리.

그냥 '고깃국'이라도 부른다. 고깃국을 넓은 범위로 해석하면 고기를 넣어서 끓인 다양한 국물요리로 확장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각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얘기 없이 그냥 '고깃국'이라고 하면 보통은 소고기뭇국을 뜻한다.

소고기는 주로 양지, 사태와 같은 국거리 부위를 주로 쓰며, 무를 썰어서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추어 은근한 불에 오래 끓여서 국물을 낸다. 그냥 날고기를 넣어서 끓이면 국물이 잘 우러나지 않기 때문에 한번 볶아서 익힌 다음 물을 넣고 끓이지만 그래도 30분 이상은 끓여줘야 제맛이 난다.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고 먹을 때에는 그냥 먹거나 느끼한 맛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후추를 뿌려 먹기도 한다. 소고기뭇국은 제삿상에도 올라가는 단골 음식이다.[1]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부권은 그냥 국간장소금 정도만 사용하지만 경상도 쪽으로 가면 고춧가루를 넣어서 얼큰한 맛을 낸다. 이것으로 국밥을 말아 먹는데, '소고기국밥'이라고 하면 이런 종류의 소고기뭇국을 사용하며, 경상도를 넘어 서울을 비롯한 전국으로 퍼져 있다.

북한 김일성이 천리마운동을 선언할 때 "우리 인민은 모두가 다 기와집에서 이밥에 고기국을 먹으며 비단옷을 입고 사는 부유한 생활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라는 말을 했는데 남북한의 생활 수준이 역전되고 북한의 민생이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북한의 피폐한 경제를 비웃는 표현으로 남쪽에서 많이 써먹은 바 있다. 80년대 쯤이면 남쪽은 웬만하면 쌀밥에 고깃국은 어렵잖게 먹었고 도시는 아파트, 농어촌은 슬레이트 지붕이 보편화 되어 있었는데, 북쪽은 언제나 60년대에 부르짖었던 이밥에 고깃국 먹는 생활을 할 거냐는 비아냥인 것.

각주

  1.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특정한 국을 올릴 수도 있으나,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대체로 소고기뭇국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