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Quote Box|quote=
{{Quote Box|quote=
알다시피 모두가 배고픈 시대가 있었습니다. 그 시절엔 영덕 어부들이 고기잡이를 나가면 제대로 차려서 밥을 먹을 시간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허기를 달래야 또 일할 수가 있지 않았겠습니까.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생각해낸 것이 자신들이 잡은 물가자미, [[청어]], [[전어]] 등을 뼈도 발라내지 않고 썰어서 배에 있는 채소 한두 가지를 넣어 [[고추장]]에 비벼 후다닥 먹는 것이었지요. 그게 오늘날의 영덕 막회가 된 것입니다.
알다시피 모두가 배고픈 시대가 있었습니다. 그 시절엔 영덕 어부들이 고기잡이를 나가면 제대로 차려서 밥을 먹을 시간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허기를 달래야 또 일할 수가 있지 않았겠습니까.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생각해낸 것이 자신들이 잡은 물가자미, [[청어]], [[전어]] 등을 뼈도 발라내지 않고 썰어서 배에 있는 채소 한두 가지를 넣어 [[고추장]]에 비벼 후다닥 먹는 것이었지요. 그게 오늘날의 영덕 막회가 된 것입니다.
|quoted=1
}}
}}



2020년 7월 8일 (수) 10:32 판

도다리 막회.

의 일종으로 영덕을 비롯해서 경상도의 동해안 쪽에서 주로 발전했다. 영덕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보니 영덕 이외 지역의 막회 식당 중에 이름에 '영덕'이 들어가는 곳이 많다.

특징

세꼬시와 비슷하게 직각으로 썰어낸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잔가시는 그냥 남기고 썰어내는 세꼬시와는 달리 뼈를 다 발라내고 썰어내는 게 가장 큰 차이다. 다만 생선에 따라서는 완전히 발라내는 게 불가능해서 약간의 잔가시는 남아 있을 수 있다. 세꼬시도다리, 장어, 전어와 같이 어종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데 반해 막회는 광어, 우럭처럼 보통 로 많이 먹는 생선과 각종 잡어로도 만들 수 있다. 원조격인 영덕군은 물가자미[1]를 많이 쓰는데, 해마다 물가자미·막회축제를 개최한다.[2] 아예 손님이 생선을 마음대로 고르는 게 아니라 그날 그날 들어오는 잡어들을 막회로 썰어내 주는 가게들이 많아서 여러 생선이 섞여 있기도 하는데, 이런 가게들은 생선 이름을 메뉴에 표시하지 않는 막회 가게들도 많이 있다 보니, '아무 생선이나 막 준다'고 해서 막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세꼬시처럼 그냥 처럼 먹기도 하지만, 초고추장 양념을 뿌려서 먹기도 한다. 막회와 함께 채썬 양배추, 깻잎, 김가루, 콩가루, 초고추장을 내는 집도 있으며 채소 및 양념과 함께 먹을 수도 있다. 단순히 회를 치는 방식만이 아니라 이와 같이 채소와 초고추장을 함께 곁들여 먹는 것이 막회의 전형적인 이미지다. 막회와 물회를 같이 하는 식당도 많다 보니 국물이 있는 건 물회, 국물이 없는 건 막회로 생각하기도 한다.

유래

영덕 물가자미·막회축제 관계자에 따르면 막회의 유래는 이렇다.[3]

틀:Quote Box

각주

  1. 영덕 일대에서는 '미주구리'라고 부른다.
  2. "제11회 영덕물가자미&막회 축제를 다녀온 후", 영덕군 공식 블로그, 2018년 5월 10일.
  3. "제철 생선 썰어 초고추장 듬뿍, 영덕 막회 맛보세요", <오마이뉴스>, 2017년 10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