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라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라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요리== [[파일:Ramyeon bunsikjip.jpg|upright 1.5|섬네일|없음|흔한 [[분식집]] 스타일 라면.]] [[일본]]에서는 인스턴트 [[라멘]]은 음식점에서 파는 [[라멘]]의 인스턴트 버전이고, [[편의점]]이나 가게에서 사서 집에서 간단히 먹는 정도에 불과하다. [[일본]]에서 인스턴트 [[라멘]] 끓여서 파는 음식점은 일부 한국음식점 말고는 없다. 반면 한국에서는 음식점에서도 종종 볼 수 있고 [[분식집]] 메뉴에는 기본으로 들어가 있다. 일본은 라멘이라는 음식의 인스턴트 버전에 불과하지만 라멘이 없었던 우리나라는 분식을 장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다가 아예 하나의 분야로 정착했다. 비록 일본이 원류라고는 해도 한국인의 [[소울푸드]]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ref>[[일본]]의 [[라멘]]도 원류는 [[중국]]이고, 일본인들도 [[중화요리]]의 일종으로 생각한다.</ref> 가장 기본은 라면에 파 송송 [[계란]] 탁. [[일본]]의 음식점 [[라멘]]은 [[달걀]]을 반숙으로 삶아서 반을 넣어주지만 우리나라 [[분식집]] 라면은 그냥 풀어서 넣는다. 동글 납작하게 썰은 [[가래떡]]을 넣은 떡라면, [[만두]]를 넣은 만두라면, 둘 다 넣은 떡만두라면이 일단 [[분식집]] 메뉴에 올라 있는 라면 요리의 기본. [[파일:Cheese ramye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치즈]]라면.]] [[해산물]]을 넣고 고추양념으로 좀더 국물을 맵게 한 [[짬뽕라면]], [[콩나물]]을 넣은 [[해장]]라면, [[슬라이스 치즈]]를 한 장 위에 올린<ref>먹을 때 적당히 저어 주면 뜨거운 국물에 [[치즈]]가 녹아서 독특한 맛을 낸다. 단, 안 그래도 [[포화지방]] 함량이 많은 라면에 [[치즈]]까지 넣으면 [[포화지방]] 함량이 더더욱 올라간다. <del>그게 걱정이면 애초에 라면을 안 먹어야...</del></ref> 치즈라면, [[햄]]과 [[소시지]]를 넣은 부대라면과 같은 변형도 존재한다. [[신라면]]이 압도적인 인기고 싼 값을 무기로 하는 분식집이라면 조금 싼 [[안성탕면]], 심지어는 값싼 PB 상품 소고기면을 쓰기도 한다. [[짜파게티]] 끓여 파는 곳도 은근 있다. 하얀 국물 라면이 인기 좋았을 때에는 [[나가사끼짬뽕]]을 메뉴에 올린 곳도 있었지만 열풍이 식으면서 거의 자취를 감춘 상태. 진라면의 인기가 조금씩 오르면서 [[분식집]] 중에도 진라면 매운맛을 끓여주는 곳들이 보이고 있다. [[파일:Rabokki.jpg|upright 1.5|섬네일|없음|[[라볶이]].]] 라면을 재료로 하는 요리 레서피도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분식집]]에도 있는데,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게 [[라볶이]]. [[떡볶이]]에 떡 대신 [[라면사리]]를 넣은 것이다. 라면[[샐러드]], 라면냉채, 라면[[골뱅이]]무침 같은 여러 가지 요리들이 있긴 한데, 대부분은 라면을 사리로 활용하는 요리다. [[횟집]]이나 [[해산물]] 요리점에서도 라면을 파는 곳이 있는데, 심지어 [[전복]]라면 같은 것도 있다. 이쯤 되면 라면값보다 건더기값이 훨씬 비싸진다. 묘하게 바닷가에서 인기가 많다. 그 지역에서 많이 나는 해산물을 넣은 라면을 파는 식당들이 있다. 그리고 어부들도 방금 잡은 해산물을 넣고 어선 위에서 끓인 라면을 참으로 즐긴다. 워낙 방송에도 많이 나와서 이젠 당연히 그러려니 할 정도. [[해산물]]을 넣으면 느끼한 맛이 줄기 때문에 [[해산물]]을 주력으로 하는 음식점에 가면 라면이 메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런 라면들은 그만큼 가격도 비싸다. [[전골]]이나 [[찌개]]에 들어가는 사리로도 애용된다. 빨리 익고 고소하고 포만감도 좋다. 일단 [[부대찌개]]와 즉석 [[떡볶이]]에는 라면 사리가 기본이다시피 하고, [[김치찌개]], [[매운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찌개]]와 [[전골]] 계통 요리에 라면 사리가 널리 쓰인다. 하지만 라면 사리는 [[당면]]이나 [[우동]] 같은 다른 종류의 사리에 비해 국물을 엄청나게 빨아들이므로 [[육수]]를 더 붓든지 하지 않으면 국물이 남아나지 않는다. 옛날에 자취생들이나 탄광노동자들이 먹던 [[라면밥]]이라는 것도 있다. 라면과 [[고추장]], 밥을 섞어서 끓이는 것으로, 요리라 하기보다는 그냥 배채우기용으로 만든 것이지만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 요리. 지금은 아는 사람도 거의 없고 인터넷에 자료도 거의 없이다. [[라면밥]]으로 검색해 보면 그냥 라면에 밥 말아먹는 얘기가 주로 나온다. 두 개 이상의 라면을 같이 끓여서 새로운 맛의 라면을 만들기도 한다. 가장 히트친 게 [[짜파게티]] + [[너구리]] = [[짜파구리]]. 자매품으로 [[오징어짬뽕]] + [[짜파게티]] = [[오빠게티]]도 있다. 특히 짜파구리는 <일밤>의 아빠 어디가? 코너에서 김성주 아나운서 아들에게 끓여주는 모습이 나오면서 오버그라운드로 올라왔고, 영화 <기생충>에 '살치살 넣은 짜파구리'가 나오는 바람에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다. 봉준호 감독이 청와대에 초청 받았을 때에도 [[짜파구리]]가 나올 정도. 사발면 버전으로 정식 상품화까지 했다. 오뚜기는 [[진짜장]] + [[진짬뽕]] = [[진진짜라]]라는 제품을 내놓았다. [[편의점]]에서 두 세 가지를 섞어서 먹는 것도 있다. 한때 10대를 중심으로 유행했던 게 [[불닭볶음면]] + [[참치마요]] [[삼각김밥]] + [[스트링치즈]] 조합. [[컵라면]]을 조리한 다음 다 때려넣고 비벼 먹는다. 사람들의 인식은 값싼 음식이지만 묘하게 부자들도 좋아한다. 장거리 구간 항공기 [[비즈니스 클래스]]를 타면 두 번의 식사 중간에 간식이 나오는데 보통 라면과 [[샌드위치]]가 제공된다. 한국 승객들은 압도적으로 라면을 선택한다. <del>사실 이 때 주는 [[샌드위치]]가 맛이 없다.</del> [[비즈니스 클래스]]를 탈 정도면 돈이 많거나 출장이면 회사에서 직위가 꽤 높아야 하는데 여기서도 라면이 인기다. 그러다가 그 유명한 라면상무 사건이 터지기도 하지만... [[이코노미 클래스]]의 경우에도 장거리 노선의 간식으로 [[컵라면]]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저가항공사]]는 유료로 판매하기도 한다. 다만 기내의 압력이 대략 고도 2천 미터 수준으로 맞춰져 있기 때문에 물의 끓는점이 낮아져서 라면이 잘 안 익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체가 흔들리거나 해서 국물이 넘친다면 옷을 버리거나 심하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뒤에 좀 더 자세히 나오겠지만 실제로 2015년에 이런 사고가 난 바 있다. 강남의 모 [[사우나]]에서는 1만5천 원짜리 [[해물라면]]을 판다고 해서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p=1798&b=bullpen2&id=4788538&select=title&query=&user=&reply= 사진이 올라오고] 화제가 되기도 했다.<ref>댓글 반응을 보면 창렬하다는 게 대부분. 건더기가 푸짐하게 들어가는 것 같지만 알고 보면 대부분 값싼 재료들이고, 1만 원짜리 [[짬뽕]]도 저 정도 혹은 저거보다도 [[해산물]]이 많이 들어간다는 반응이 주류다.</ref> 바닷가에 있는 [[해산물]] 음식점 중에는 유난히 그 지역의 [[해산물]]을 넣어서 끓인 라면이 인기가 있다. 이들 중에는 재료가 재료인만큼 가격이 만 원이 넘어가는 라면도 있다. 부자들 중에도 종종 라면 즐기는 사람들이 많은 걸 보면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소울 푸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