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중국]]의 공항. 단일 공항으로는 탑승객 수 기준으로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에 이어서 [[중국]] 제2의 공항이다. <del>엥? 상하이는?</del> 도시의 규모로 보나 취항지로 보나 [[상하이]]가 훨씬 많을 것 같지만 그쪽은 한국의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처럼 국제선 위주의 [[상하이 푸둥국제공항|푸둥]]과 국내선 및 단거리 국제선 중심의 [[상하이 홍차오국제공항|홍차오]]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각각 3,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둘을 합치면 광저우는 가볍게 뛰어넘는다. 만약 [[홍콩]]의 [[홍콩국제공항]](첵랍콕)을 포함시키면 바이윈은 첵랍콕에게도 밀린다.
[[중국]]의 공항. 단일 공항으로는 탑승객 수 기준으로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에 이어서 [[중국]] 제2의 공항이다. <del>엥? 상하이는?</del> 도시의 규모로 보나 취항지로 보나 [[상하이]]가 훨씬 많을 것 같지만 그쪽은 한국의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처럼 국제선 위주의 [[상하이 푸둥국제공항|푸둥]]과 국내선 및 단거리 국제선 중심의 [[상하이 홍차오국제공항|홍차오]]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각각 3,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둘을 합치면 광저우는 가볍게 뛰어넘는다. 만약 [[홍콩]]의 [[홍콩국제공항]](첵랍콕)을 포함시키면 바이윈은 첵랍콕에게도 밀린다.  하지만 비행기 수가 500대가 넘는 중국 최대의 항공사인 [[중국남방항공의]] 본진인 만큼 막상 실물을 보면 으리으리한 규모를 자랑한다.


하지만 화물 수송에는 중요한 곳으로 [[FedEx]]의 동북아시아 허브가 광저우공항에 있다. [[FedEx]] 화물을 추적하다 보면 우리나라에 오기 전에 광저우에 들르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화물 수송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FedEx]]의 동북아시아 허브가 광저우공항에 있기 때문. [[FedEx]] 화물을 추적하다 보면 우리나라에 오기 전에 광저우에 들르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del>서비스 최악으로 정평이 나 있는 난퐝</del> [[중국남방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IATA 공항 코드는 CAN. <del>뭔가 할 수 있는 공항 또는 깡통 공항.</del>처음 코드를 보면 뭐여? [[캐나다]]여? 싶다. 아무리 봐도 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과 관계가 없어 보이는 이 이름은 예전 광저우 공항에서 쓰던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CAN은 '광둥'을 뜻하는 영어 'Cantonese'에서 앞 세 글자를 따온 것.
IATA 공항 코드는 CAN. <del>뭔가 할 수 있는 공항 또는 깡통 공항.</del>처음 코드를 보면 뭐여? [[캐나다]]여? 싶다. 아무리 봐도 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과 관계가 없어 보이는 이 이름은 예전 광저우 공항에서 쓰던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CAN은 '광둥'을 뜻하는 영어 'Cantonese'에서 앞 세 글자를 따온 것.


[[파일:Guangzhou airport corridor.jpg|500px|섬네일|가운데|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 게이트 통로.]]
[[파일:Guangzhou airport corridor.jpg|500px|섬네일|가운데|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 게이트 통로.]]
국제선에서 국내선으로 환승할 경우에는 상당히 편리한 동선을 자랑한다. 입국수속을 마치고 짐을 찾은 뒤 세관 데스크를 통과하고 나면 입국장으로 나가는 통로와 국내선 환승 통로로 갈라진다. 국내선 환승 통로로 가면 바로 국내선 체크인 카운터가 나오는데, 여기서 수속을 하고 한층을 올라가서 보안검색을 마치고 나면 전동 카트로 국내선 터미널까지 데려다 준다. 걸어가면 30분은 족히 걸릴 거리를 카트로 수시로 태워준다. 다만 국내선 쪽에서 내려주면 A, B 터미널로 나뉘는데, [[중국남방항공]]이 주로 사용하는 A 터미널은 10분 정도 걸어가야 한다.


[[Category:공항]]
[[Category:공항]]

2016년 11월 3일 (목) 16:45 판

중국의 공항. 단일 공항으로는 탑승객 수 기준으로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에 이어서 중국 제2의 공항이다. 엥? 상하이는? 도시의 규모로 보나 취항지로 보나 상하이가 훨씬 많을 것 같지만 그쪽은 한국의 인천공항김포공항처럼 국제선 위주의 푸둥과 국내선 및 단거리 국제선 중심의 홍차오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각각 3,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둘을 합치면 광저우는 가볍게 뛰어넘는다. 만약 홍콩홍콩국제공항(첵랍콕)을 포함시키면 바이윈은 첵랍콕에게도 밀린다. 하지만 비행기 수가 500대가 넘는 중국 최대의 항공사인 중국남방항공의 본진인 만큼 막상 실물을 보면 으리으리한 규모를 자랑한다.

화물 수송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FedEx의 동북아시아 허브가 광저우공항에 있기 때문. FedEx 화물을 추적하다 보면 우리나라에 오기 전에 광저우에 들르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IATA 공항 코드는 CAN. 뭔가 할 수 있는 공항 또는 깡통 공항.처음 코드를 보면 뭐여? 캐나다여? 싶다. 아무리 봐도 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과 관계가 없어 보이는 이 이름은 예전 광저우 공항에서 쓰던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CAN은 '광둥'을 뜻하는 영어 'Cantonese'에서 앞 세 글자를 따온 것.

광저우 바이윈국제공항 게이트 통로.

국제선에서 국내선으로 환승할 경우에는 상당히 편리한 동선을 자랑한다. 입국수속을 마치고 짐을 찾은 뒤 세관 데스크를 통과하고 나면 입국장으로 나가는 통로와 국내선 환승 통로로 갈라진다. 국내선 환승 통로로 가면 바로 국내선 체크인 카운터가 나오는데, 여기서 수속을 하고 한층을 올라가서 보안검색을 마치고 나면 전동 카트로 국내선 터미널까지 데려다 준다. 걸어가면 30분은 족히 걸릴 거리를 카트로 수시로 태워준다. 다만 국내선 쪽에서 내려주면 A, B 터미널로 나뉘는데, 중국남방항공이 주로 사용하는 A 터미널은 10분 정도 걸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