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무지

내위키
Dennis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2월 21일 (금) 08:47 판

절임음식

소금설탕을 누가 써 요즘 다들 사카린 쓰지에 절인 음식. 다쿠앙이라는 일본 이름, 혹은 다꽝으로도 알려져 있다. 일본의 다쿠앙 대사가 발명한 것이라서 다쿠앙이라고 부른다지만 실제로 다쿠앙 대사가 고안한 건 아닌 듯.

일본한국의 단무지는 차이가 꽤 크다. 일단 일본 다쿠앙은 절일 때 쌀겨와 술지게미를 사용하며, 절이는 기간이 길어서 의 수분이 빠져서 꾸덕꾸덕하고 씹는 맛이 약간 오도독한 편인데 반해 한국 단무지는 쌀겨와 술지게미를 쓰지 않으며 무의 수분이 별로 빠지지 않아 크기가 크고 아삭아삭한 맛이 많다. 맛 말고도 오독오독, 혹은 아삭아삭한 식감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음식이기도 하다.

사실 소금에 절여서 저장했다가 먹는 문화는 우리나라도 옛날부터 있었다. 가을에 를 수확해서 절여 보관했다가 겨울과 봄에 걸쳐서 꺼내먹곤 했는데, 흔히 '짠지' 혹은 '무짠지'라고 하는 음식은 우리 조상들이 옛날부터 먹어왔다.[1] 고려시대 후기의 문장가인 이규보의 시 <가포육영家圃六詠>에 "장을 곁들이면 한여름에 먹기 좋고[得醬尤宜三夏食] 소금에 절이면 긴 겨울을 넘긴다[漬鹽堪備九冬支]."는 구절이 있다. 장, 다시 말해 간장에 절인 것은 장아찌, 소금에 절인 것은 짠지라고 할 수 있으며 무를 겨울 내내 보관하고 먹는 방식으로 짠지를 담은 역사가 아주 오래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이런 짠지는 통통한 무를 통째에 소금에 절여 보관한 일종의 백김치라고 할 수 있고 다쿠앙처럼 꾸덕꾸덕하지도 않다. 일본의 다쿠앙에 한국에 건너오면서 한국의 짠지와 섞여서 만들어진 게 꾸덕꾸덕하지 않은 한국식 단무지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짠지는 소금에만 절이기 때문에 달지 않다.

단무지의 이름을 분해해 보면 단(달다) + 무(재료) + 지(김치)가 된다. 묵은지, 짠지, 싱건지, 섞박지와 같이 김치나 절임 음식 뒤에 '지'가 끝에 붙는 음식들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김치를 뜻한다. 원래는 '디히'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지'로 변한 것. 장아찌의 '찌' 역시도 사실은 같은 어원이다.

단무지 하면 생각나는 노란색은 자연스럽게 드는 색은 아니다. 고추씨나 치자를 쓰기도 하고 대량생산되는 건 그냥 식용색소. 건강이나 식품첨가물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면서는 아예 색소를 쓰지 않는 허연 단무지도 나오고 있다. 단맛은 원래는 설탕으로 냈지만 대량생산되는 건 사카린을 쓴다. 사카린이 발암물질 취급을 받던 때에도[3] 단무지만큼은 사카린으로 단맛을 내는 게 주류였고, 설탕을 쓴 것은 값도 비싼 데다가 사람들 입맛은 이미 사카린 단무지에 길들여 있다 보니[4] 별 반응은 얻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분식집중국집의 필수 메뉴. 일본에서 건너온 건데도 일식집보다는 중국집에서 더 친숙하다. 중국집에서 짜장면이나 짬뽕을 시키면 단무지와 양파가 나오는 게 기본이다. 분식집라면이나 김밥 시키면 단무지가 나온다. 김밥 안에도 단무지 들었잖아. 그밖에도 멸치국수비빔국수, 칼국수, 우동을 비롯한 면요리에 단무지가 단골로 나온다. 매운 음식과 잘 어울리는 편인데 단무지의 시원하면서도 달달한 맛이 매운맛에 얼얼한 입안을 달래주기 때문. 반면 밥반찬으로는 잘 안 나온다. 다만 단무지를 고춧가루참기름, 마늘, 와 같은 갖은 양념에 무친 것은 밥반찬으로 나온다. 프라이드 치킨에는 단무지 대신 치킨무를 곁들이는데, 여러 면에서 닮아는 있지만 치킨무는 식초를 써서 새콤한 맛을 내고 노란 물을 들이지 않는다.

단무지를 반찬이 아닌 음식 재료로 쓰기도 한다. 일단 김밥에는 필수 메뉴 중 하나이다시피 하다. 부산의 서민 음식인 비빔당면에도 채썬 단무지가 들어간다.

군산의 단무지가 의외로 명품이다. 일제강점기 때 군산 쪽에 일본인이 간척지를 만들고 일본인들이 이주를 와서 이곳에 농사를 지었는데[5] 그러면서 일본 음식 문화도 수입되었다. 이쪽까지 와서 농사 지은 일본인들이 일본에서 넉넉하게 살았을 사람들일 리는 없고, 어차피 농삿일은 땡볕에서 고되게 일하다가 밭에서 끼니를 때우는 일도 많다 보니 단무지나 나라즈케 같은 일본식 절임 음식들이 많이 퍼졌는데, 그게 지금까지 내려오면서 군산 쪽에는 아직도 시장에서 일본식 절임을 흔하게 볼 수 있다. 군산 쪽 시장에서 파는 단무지는 우리가 잘 아는 것과는 다른, 쌀겨와 술지게미를 사용해서 일본식으로 만든 꾸덕꾸덕한 단무지다.[6]

우리나라에서는 단무지 하면 분식집이나 중국집에서 그냥 주는 싸구려 절임 쯤으로 생각하지만 일본에서는 좀 더 높은 대접을 받는다. 음식 반찬으로 공짜로 몇 점 주는 곳도 있지만 정말 몇 점 찔끔 주고 만다. 아예 돈을 내야 먹을 수 있는 음식점도 있다. 특별한 축제에서 신의 아들 자격으로 선발된 남자가 몸을 정화한다는 이유로 축제 날까지 며칠 동안 오로지 쌀밥과 단무지만 먹도록 하는 지방도 있다.

카카오톡 프렌즈 캐릭터 가운데 하나인 무지는 토끼옷을 입고 있으나 원래 정체는 단무지. 늘 따라다니는 악어 콘이 단무지를 키워서 무지로 만들었다나 어쨌다나.

단순 무식 지랄의 줄임말

제목 그대로다.80년대와 90년대 초까지 몇몇 공대 학과를 두고 남들이 그렇게 부르기도 했고 스스로 그렇게 부르기도 했다. 그때는 공대에 여자 구경하기가 정말 힘들었고 마초스러운 이미지, 혹은 공돌이 이미지가 많았다.

공대생들은 스스로를 단무지로 부르기도 했는데 여기서 단무지는 단결 무적 지성의 줄임말이라나. 잘도 갖다 붙인다.

각주

  1. 한편 동치미는 일부 지역에서는 '싱건지'라고 불렀다. 짜다-싱겁다라는 반대 개념이 짠지-싱건지에 스며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짠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3. 2010년에 미국의 환경보호청(EPA)에서 사카린을 '인간 유해 우려 물질' 리스트에서 삭제하면서 발암물질 의혹에서는 벗어났다. 다르게 보면 그만큼 오랫동안 의혹을 받아온 물질이라서 장기간에 걸쳐서 많은 연구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의혹을 벗었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한 물질로 볼 수 있다.
  4. 단맛의 차이 말고도 설탕을 쓰면 끈적한 느낌이 생기는데 사카린은 그런 느낌은 없어서 무의 시원하고 깔끔한 맛과 어울리기도 하다. 치킨무무쌈, 무채에도 쓰이며, 심지어는 깍두기에도 사카린을 넣는 음식점이 있다.
  5. 당시 땅을 메우는 일은 조선인들이 했지만 이 사업을 했던 일본 기업 불이흥업주식회사는 사업이 완료되면 임금은 물론 영구 소작권을 주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일본인 이주민들에게 땅을 나눠줬다.
  6. "어미의 단무지", <한겨레21>, 2016년 4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