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그레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10번째 줄: 10번째 줄:


또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 되면 보통 더 높은 하드웨어 제원을 요구하는데, 하드웨어의 성능이 받쳐주지 못하면 너무 느려진다든가, 오류를 자주 일으키거나 하는 문제가 터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예전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게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 되면 보통 더 높은 하드웨어 제원을 요구하는데, 하드웨어의 성능이 받쳐주지 못하면 너무 느려진다든가, 오류를 자주 일으키거나 하는 문제가 터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예전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게 된다.
다운그레이드는 업그레이드보다 어렵다. 업그레이드는 보통 소프트웨어 제작사가 여러 가지 편리한 설치 프로그램이나 가이드를 지원해 주지만 다운그레이드는 인색할 수밖에 없다. 소프트웨어 제작사로서는 될 수 있으면 사용자들이 빨리 최신 버전으로 넘어가기를 바란다. 구 버전 소프트웨어를 쓰는 사람들이 많으면 일단 보안이나 버그 관련 유지관리를 여러 버전에 걸쳐서 해야 하므로 비용이 올라간다. 또한 새 버전을 안 쓰고 구 버전을 쓰는 사람이 많다면 그만큼 새 버전이 문제가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다운그레이드를 소프트웨어 제작사 차원에서 지원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운영체제를 다운그레이드하는 경우에는 그냥 [[하드디스크]]<ref>[[SSD]] 포함.</ref>를 밀고 구 버전으로 다시 깔거나, 제작사가 지원하는 설치 프로그램을 통한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해도 앱이나 개인 파일들이 초기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파일들은 백업해야 한다.<ref>물론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에도 될 수 있으면 개인 파일은 백업한 후에 진행하는 게 좋다.</ref>


==하드웨어==
==하드웨어==

2022년 10월 7일 (금) 02:41 기준 최신판

Downgrade.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신제품에서 구형 제품으로 바꾸거나 성능을 낮춘 것으로 바꾸는 것을 뜻한다. 즉, '업그레이드'의 반댓말이다.

소프트웨어

다운그레이드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보통 호환성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소프트웨어는 특정 버전 이상의 운영체제에서는 문제가 생기거나 아예 실행이 안 될 수 있다. 인기 있는 소프트웨어들은 운영체제가 업그레이드 되면 그에 맞춰 업그레이드를 하지만 특정 산업분야에서 적은 수요층만 있는 소프트웨어는 상대적으로 개발이 늦을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개발은 중단되어 버렸는데 어떤 목적을 위해서는 안 쓸 수 없는 경우도 있다.[1] 이럴 때는 사용하려는 소프트웨어에 맞춰서 운영체제를 다운그레이드 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는 대부분 최신 버전의 운영체제가 미리 설치되어 나오는데, 일부 업체들은 다운그레이드 옵션을 제공한다.

운영체제가 업그레이드 된 초기에는 버그가 많아서 전에는 잘 돌아가던 소프트웨어가 자꾸 죽거나 아예 컴퓨터가 오류를 일으키거나 할 수도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확 바뀌어 이전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불편을 호소하기도 한다. 윈도우 8이 그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는데, 메트로 UI를 들고 나오면서 시작 버튼을 없애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크게 바꾸었는데 윈도우 7까지의 인터페이스에게 익숙해진 사람들에 이질감을 크게 느낀 나머지 윈도우 8에서 7로 다운그레이드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윈도우 8.1에서 시작 버튼이 부활하고 일부 인터페이스를 수정한 다음에야 그나마 사용자 층이 늘어났지만 여전히 윈도우 7로 다운그레이드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또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 되면 보통 더 높은 하드웨어 제원을 요구하는데, 하드웨어의 성능이 받쳐주지 못하면 너무 느려진다든가, 오류를 자주 일으키거나 하는 문제가 터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예전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게 된다.

다운그레이드는 업그레이드보다 어렵다. 업그레이드는 보통 소프트웨어 제작사가 여러 가지 편리한 설치 프로그램이나 가이드를 지원해 주지만 다운그레이드는 인색할 수밖에 없다. 소프트웨어 제작사로서는 될 수 있으면 사용자들이 빨리 최신 버전으로 넘어가기를 바란다. 구 버전 소프트웨어를 쓰는 사람들이 많으면 일단 보안이나 버그 관련 유지관리를 여러 버전에 걸쳐서 해야 하므로 비용이 올라간다. 또한 새 버전을 안 쓰고 구 버전을 쓰는 사람이 많다면 그만큼 새 버전이 문제가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다운그레이드를 소프트웨어 제작사 차원에서 지원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운영체제를 다운그레이드하는 경우에는 그냥 하드디스크[2]를 밀고 구 버전으로 다시 깔거나, 제작사가 지원하는 설치 프로그램을 통한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해도 앱이나 개인 파일들이 초기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파일들은 백업해야 한다.[3]

하드웨어

하드웨어는 고성능을 저성능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하드웨어끼리의 호환성 문제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조립 컴퓨터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가 자꾸 오류를 일으키거나, 발열이나 전력 소비가 커서 전체적인 컴퓨터의 안정성을 해칠 경우에는 조금 성능이 낮지만 전력 소모나 호환성이 더 나은 쪽으로 바꿀 수도 있다. 물론 전력소비가 문제라면 전원공급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도 있지만.

아니면 기업이 의도적으로 자사 제품의 성능을 낮추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 아이폰 13에는 똑같이 A15 Bionic AP가 들어가지만 프로보다 아래 버전들은 GPU 코어 5개 중 1개를 비활성해 놓았다. 애플 입장에서는 제품군에 따른 성능 차이도 둘 필요가 있고, 크기가 작으면 그만큼 배터리 용량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어떤 제품의 신형을 내놓으면서 일부 부품은 오히려 이전보다 제원이 하향되거나 성능이 낮은 것을 쓰는 다운그레이드도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 S20은 램 용량이 12GB였지만 S21은 오히려 8GB로 줄었다. 뒷면 재질로 S20은 유리였지만 S21은 폴리 카보네이트, 즉 플라스틱으로 다운그레이드 했다. S20이 너무 스펙이 높았고 그 결과 판매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게 중론이라,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다운그레이드를 한 것이지만 신형 모델이 이전보다 스펙이 떨어진다는 건 특히 전자제품 쪽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그밖에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성능이나 질을 낮추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같은 식품인데 언제부터인가 맛이 없어졌든다, 재료가 국내산에서 수입산으로 바뀌었다든가, 양이 줄어들었다든가, 하는 경우에 '다운그레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제품의 가격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다운그레이드를 감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회사는 작정하고 리뉴얼한 게 실패작이 되었을 때에도 다운그레이드라고 욕먹는다.

각주

  1. 예를 들어 특정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가 잘 안 될 수도 있고, 해당 장비가 단종되면서 소프트웨어도 더 이상 업그레이드가 안 된다. 하지만 장비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장비의 수명이 다 할 때까지 써야 하니 관련된 소프트웨어도 계속 써야 한다.
  2. SSD 포함.
  3. 물론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에도 될 수 있으면 개인 파일은 백업한 후에 진행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