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아파치 HTTP 서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아파치 HTTP 서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정식 이름은 아파치 HTTP 서버(Apache HTTP Server)지만 아파치 서버로 많이 알려져 있다. 프로그램의 이름은 httpd다. [[HTTP]] [[데몬]](daemon)이라는 의미. [[아파치재단]]에서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웹서버]] 소프트웨어. 1995년에 처음으로 공개된 소프트웨어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무료지만 뛰어난 기능과 안정성으로 가장 많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위인 [[마이크로소프트]]의 IIS가 분투하고는 있지만 한 번도 역전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듯.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다양한 운영체제에 이식되어 [[윈도우]]나 [[OS X]]에도 설치해서 쓸 수 있다. 현재 나와있는 대부분의 개인용 또는 서버용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그게 바로 [[오픈소스]]의 장점 중 하나. [[리눅스]] 운영체제에 APM(Apache HTTP Server + [[PHP]] + [[MySQL]])은 [[웹서버]] 구성의 기본으로 받아들여질 정도다. 이렇게 구성하는 데 소프트웨어 비용은 단 한 푼도 안 든다. <del>어디까지나 자기가 직접 다 설치하고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전제로.</del> 아예 APM 한방 설치 프로그램인 LAMP([[리눅스]]용)나 WAMP([[윈도우]]용), MAMP([[맥]]용) 패키지도 나와 있다. 그렇다고 [[웹호스팅]]이나 소규모 웹사이트에만 쓰이는 게 절대 아니다. 대규모 엔터프라이즈급에서도 잘만 쓰인다. 오히려 거대규모 웹서버 시장 점유율은 아파치가 더욱 막강하다. 상용 소프트웨어를 능가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좋은 예 가운데 하나. <del>제발 [[오라클]]에게는 먹히지 마라.</del> [[아파치재단]]의 상징과도 같은 작품으로 [[아파치재단]]이란 이름을 들어보았다면 가장 먼저 [[웹서버]]를 떠올릴 거고 그 다음으로는 [[자바]] [[서블릿]]과 [[JSP]] 웹서버인 [[톰캣]]일 듯. 1995년에 나왔는데도 20년이 지난 2016년 5월 현재로 최신 버전은 2.4다. 지금까지도 1.x 대에 머물러 있는 서버도 있다. 너무 기능 추가나 발전이 없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겠지만, 그만큼 안정화가 잘 되어 있는 서버라는 뜻일 수도 있다. 사실 아파치 서버 자체는 웹 서버로서 아주 기본적인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고, PHP를 비롯해서 동적 웹 페이지를 만드는 기능이라든가 하는 대부분의 발전된 기능은 외부 모듈을 붙여서 구현한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아파치 HTTP 서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