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츄부국제공항 센트레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츄부국제공항 센트레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セントレア中部国際空港 정식 이름은 중부(츄부)국제공항이고. 공식 약칭으로 센트레어(Centrair, 일본어로는 센토레아). '''centr'''al+'''air'''port의 합성어로 공모전을 통해서 선정되었다. IATA 코드로는 NGO. <del>이 공항은 [[비정부기구]]입니다.</del> 공항 공식 한국어 홈페이지에서는 센트레어로 쓰고 있어서 이 항목의 이름에도 '센트레어'를 썼다.<ref>그런데 이게 좀 모호한 게, 영어식으로 제대로 읽으면 '센트레어'에 가깝고, 일본어식으로 읽으면 '센토레아'에 가깝다. '센트레아'는 어째 둘이 짬뽕된 듯한 이름.</ref> [[간사이공항]]처럼 바다를 메워서 만든 인공섬이라서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다. 실제로 자정 이후에 출발하는 국제선 노선도 몇 편 있다. [[간사이공항]]이 가라앉는 <del>일본침몰</del> 문제를 봐 와서인지 그와 같은 문제는 딱히 겪지 않는 듯. [[나고야]]를 중심으로 [[아이치현]]과 [[미에현]], [[기후현]] 등의 중부권 국내 및 국제 항공 교통의 거점 공항 구실을 하고 있다. 이 권역의 인구도 제법 되지만 [[도요타]], [[린나이]]를 비롯한 거대 일본 기업들이 이 동네에 즐비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수요도 은근히 있는 모양인지 [[루프트한자]]가 [[프랑크푸르트]] 노선을, [[핀에어]]가 [[헬싱키]] 노선을, [[에미레이트항공]]이 [[아부다비]] 노선을 운영하고 있어서 장거리 구간이 그럭저럭 있는 편이다. 미국 노선은 [[호놀눌루]]와 [[괌]] 같은 가까운 데만 있는데 특이하게 본토는 [[델타항공]]이 운항하는 [[디트로이트]] 노선 하나 뿐이다. 역시 [[도요타]] 버프를 받아서 자동차 도시끼리 연결하는 듯. <del>[[디트로이트]]는 망해가지만 이 동네는 건재하다.</del> <del>일본 3위권 지역의 공항도 장거리 노선이 저렇게 있는데... 장거리 노선이 털려버린 한국 2위권 자역 [[김해공항]]은 그저 애도를 표할 뿐이다.</del> 그래도 운항 편수가 아주 많지는 않고 특정시간에 왕창 몰아서 출발하거나 도착하지도 않는 편이라서 북적대는 느낌은 별로 없다. 터미널도 하나로 퉁치고 입고, 보안검색대나 출국심사도 한 군데로 몰아서 한다. 입국심사도 마찬가지. 그렇게 붐비지는 않아서인지 입출국수속도 빠른 편이고 [[활주로]] 트래픽 때문에 택싱 때 하염 없이 시간 잡아먹는 일도 별로 없는듯. <del>[[나리타]]나 [[상하이]]에서 걸려봐라. 미친다.</del> 공항 쪽에서는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가 혼잡한 시간대라고 알려주고 있다. 한국 노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을 운영하고 있고, [[제주항공]]은 [[김포국제공항|김포]]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 노선도 [[대한항공]]에서 운항중. =교통= 대중교통으로 가려면 [[철도]]와 [[버스]], [[페리]]가 있지만 가장 많이 이용되는 건 [[철도]]. [[메이테츠 공항선]]이 들어가 있다. 가장 빠른 뮤스카이는 중부국제공항역과 [[나고야역]]을 28분에 연결해 준다. 전석 지정석이므로 구간 승차권에 더해서 350엔(2015년 말 기준)짜리 특급권을 추가 구매해야 한다. 그밖에 등급 열차는 구간 승차권이면 되지만 지정석에 앉으려면 역시 특급권(열차 등급에 관계 없이 값이 똑같다)이 필요하다. 버스는 편수도 몇 회 되지 않고 시간도 [[철도]]보다 더 걸린다. 물론 교통 체증에 걸리면 시간이 더욱 늘어진다. 장점이라면 나고야 최대 번화가 중 하나인 사카에에서 바로 탈 수 있다는 것. [[나고야역]] [[메이테츠]] 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해서 사카에에 있는 [[오아시스21]] 버스터미널을 경유해서 공항으로 간다. 즉, [[나고야역]]에서 타면 오히려 돌아가는 결과가 되지만 사카에에서 탄다면 괜찮은 선택. 페리는 [[나고야]]가 아니라 [[미에현]]의 [[츠]]시로 간다. 미에현의 [[이세]]나 [[지마]] 쪽으로 갈 거라면 다른 교통편은 [[나고야]]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야 하므로, 시간만 맞으면 색다른 경험이고 하니 [[페리]]를 생각해 볼만하다. 공항에서 중부국제공항역을 가로지르면 페리 터미널로 가는 길이 있다. =내부 시설= 보세구역 쪽으로는 별로 기대할 게 없다. 사실 일본 공항이 도쿄 빼놓고는 [[면세점]]이 별 볼일 없는데, 여기는 더더욱 없다. [[간사이공항]]보다도 노선이나 비행편수가 적다 보니 당연한 것일지도. 화장품, 술, 담배, 기념품과 몇 가지 고급 브랜드 면세점 정도가 있는 정도이고 규모가 작다. 음식점도 중간에 분식집스럽게 이것저것 파는 곳 하나, 오른쪽 윙에 [[스타벅스]] 정도다. 뭔가 잘 먹고 싶다면 보안검색대 들어가기 전에 먹고 마시자. 4층에는 음식점들이 이것저것 있다. =그밖에= 혹시 [[로밍]] 데이터 무제한을 안 해 왔다면 공항에서 [[LTE]] 포켓 와이파이를 대여할 수 있다. 공항 도착 로비에는 [[소프트뱅크]]에서 운영하는 데여점이 있는데 대여료가 하루에 1,200엔이 넘어가니까 패스하자. [[메이테츠]] [[중부국제공항역]]으로 가면 글로벌 와이파이(Global Wi-fi)라는 더 저렴한 곳이 있다. 2015년 말 기준으로 하루 900엔(세금 포함 97엔)에 대여할 수 있다. [[로밍]] 데이터 무제한과 비교하면 별로 싸지 않지만 일단 [[LTE]]라는 장점이 있는 데다가<ref>보통 [[로밍]] 데이터 무제한은 3G고 LTE 무제한은 더 비싸다.</ref> 포켓 [[와이파이]]이므로 여러 대가 공유할 수 있다. 커플끼리 갔다면 이게 훨씬 저렴하다. <del>오로지 이것 때문에 둘이 항상 붙어 다닐 수밖에 없다는 것은 여자들에게 플러스 알파!</del><ref>국내에서 일본용 포켓 [[와이파이]]를 대여해 가는 게 더 싸다. 대략 하루 7천원 정도면 빌릴 수 있다.</ref> 다음에 또 빌리면 1천 엔을 깎아주는 쿠폰을 하나 제공하니까 챙겨 놓자. {{각주}} [[Category:공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츄부국제공항 센트레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