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츄부국제공항 센트레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츄부국제공항 센트레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セントレア中部国際空港 정식 이름은 중부(츄부)국제공항이고. 공식 약칭으로 센트레아(Centrair, [[일본어]]로는 센토레아). '''centr'''al+'''air'''port의 합성어로 공모전을 통해서 선정되었다. IATA 코드로는 NGO. <del>이 공항은 [[비정부기구]]입니다.</del> 공항 공식 한국어 웹사이트에서는 '센트레아'로 쓰고 있어서 이 항목의 이름도 '센트레아'를 쓰고 있다.<ref>그런데 이게 좀 모호한 게, [[영어]]식으로 제대로 읽으면 '센트레어'에 가깝고, [[일본어]]식으로 읽으면 '센토레아'에 가깝다. '센트레아'는 어째 둘이 짬뽕된 듯한 이름.</ref> 츄부국제공항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민영 체제인데 대주주가 [[도요타]]다. <del>해외 출장 때 [[도쿄]]까지 가기 귀찮아서 근처에 [[공항]] 하나 만든 [[도요타]]의 위엄.</del> [[간사이공항]]처럼 바다를 메워서 만든 인공섬이라서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다. 실제로 자정 이후에 출발하는 국제선 노선도 몇 편 있다. 하지만 열차는 공항발 기준으로 23시 31분에 출발하는 기후행 [[메이테츠]] 특급열차가 끝이다. 과거에는 버스도 열차도 [[메이테츠]] 막차 이후에는 끊겨서 늦은 시간 항공편이 지연 도착이라도 되면 어마무시하게 비싼 택시를 타든가 공항에서 밤을 새든가 해야 하므로 끝장이었다. 지금은 0시 40분에 출발하는 심야 버스가 있어서 문제가 완화되었다. <del>문제는 한 대 뿐이라 못 타면 공항 밤샘 확정.</del> 인공섬이지만 [[간사이공항]]이 가라앉는 <del>일본침몰</del> 문제를 봐 와서인지 이를 보완한 듯, 지반 침하 문제는 딱히 겪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운항 노선== 중부국제공항이라는 이름답게 [[나고야]]를 중심으로 [[아이치현]]과 [[미에현]], [[기후현]] 등의 중부권 국내 및 국제 항공 교통의 거점 공항 구실을 하고 있다. [[일본]] 수도권과 킨키지방에 이어 추부지방이 3위 규모를 차지하는만큼 이 권역의 인구도 제법 되지만 [[도요타]], [[린나이]]를 비롯한 거대 [[일본]] 기업들이 이 동네에 즐비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수요도 은근히 있는 모양인지 [[루프트한자]]가 [[프랑크푸르트]] 노선을, [[핀에어]]가 [[헬싱키]] 노선을, [[에미레이트항공]]이 [[아부다비]] 노선을 운영하고 있어서 장거리 구간이 그럭저럭 있는 편이다. [[미국]] 노선은 [[호놀눌루]]와 [[괌]] 같은 가까운 데만 있는데 특이하게 [[미국]] 본토는 [[뉴욕]]이고 [[LA]]고 제껴놓고 [[델타항공]]이 운항하는 [[디트로이트]] 노선 하나 뿐이다. 역시 공항 운영사 대주주인 [[도요타]] 버프를 받아서 자동차 산업 도시권끼리 연결하는 듯. 그래도 운항 편수가 아주 많지는 않고 특정시간에 왕창 몰아서 출발하거나 도착하지도 않는 편이라서 북적대는 느낌은 별로 없다. 터미널도 하나로 퉁치고 입고, 보안검색대나 출국심사도 한 군데로 몰아서 한다. 입국심사도 마찬가지. 그렇게 붐비지는 않아서인지 입출국수속도 빠른 편이고 [[활주로]] 트래픽 때문에 택싱 때 하염 없이 시간 잡아먹는 일도 별로 없는듯. 공항 쪽에서는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가 혼잡한 시간대라고 알려주고 있다. 대체로 이 시간대는 오전 출발편이 몰리는 때라 어느 국제공항이나 혼잡 시간대다. 한국 노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을 운영하고 있고, [[제주항공]]은 [[김포국제공항|김포]]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 노선도 [[대한항공]]에서 운항중. ==터미널== 국제선과 국내선 터미널이 분리되어 있지는 않고, 중부국제공항역에서 들어갔을 때 왼쪽은 국제선이, 오른쪽은 국내선이 사용하고 있다. * 1층 : 웰컴 가든 * 2층 : 도착 로비 및 액세스 플라자 * 3층 : 출발 로비 * 4층 : 상점 및 레스토랑 ==교통== 대중교통으로 가려면 [[철도]]와 [[버스]], [[페리]]가 있지만 가장 많이 이용되는 건 물론 철도대국 일본답게 [[철도]]. [[메이테츠 공항선]]이 들어가 있다. 가장 빠른 [[뮤스카이]](μ-Sky)는 중부국제공항역과 [[나고야역]]<ref>크고 아름다운 [[JR]] [[나고야역]]과는 분리된 [[메이테츠]] [[나고야역]]이므로 주의하자.</ref>을 시속 120 킬로미터로 단 28분만에 연결해 준다. 전석 지정석이므로<ref>메이테츠에서는 지정석을 뮤시트(μ-Seat), 지정석 티켓을 뮤 티켓(μ-Ticket)이라고 부른다.</ref> 구간 승차권에 더해서 350엔(2015년 말 기준)짜리 특급권을 추가 구매해야 한다. 그밖에 등급 열차는 구간 승차권이면 되지만 지정석에 앉으려면 역시 특급권(열차 등급에 관계 없이 값이 똑같다)이 필요하다. 어차피 한 시간도 안 되는 거리에 굳이 몇 천원 더 내고 특급권 사겠나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나고야]]와 [[오사카]] 지역을 퉁쳐서 여행할 거라면 [[킨테츠]] 레일패스 와이드를 이용하면 센트레아와 [[간사이공항]] 철도를 한 번씩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했으나... 지금은 없어졌고 대체로 들어온 [[킨테츠]] 레일패스 플러스는 공항철도 이용이 불가능하다. [[JR]] 노선은 들어와 있지 않기 때문에 [[재팬레일패스]] 교환권을 사서 이쪽으로 들어오면 공항에서부터 바로 혜택을 받지 못한다. 공항버스든 [[메이테츠]]든 어쨌든 돈 내고 [[나고야역]]까지 와서 바꿔야 한다. 버스는 편수도 몇 회 되지 않고 시간도 [[철도]]보다 더 걸린다. 물론 교통체증에 걸리면 시간이 더욱 늘어진다. 장점이라면 [[나고야]]최대 번화가 중 하나인 [[사카에]]에서 바로 탈 수 있다는 것. [[나고야역]] [[메이테츠]] 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해서 사카에에 있는 [[오아시스21]] 버스터미널을 경유해서 공항으로 간다. 즉, [[나고야역]]에서 타면 오히려 돌아가는 결과가 되지만 사카에에서 탄다면 괜찮은 선택. 페리는 [[나고야]]가 아니라 [[미에현]]의 [[츠]]시로 간다. 미에현의 [[이세]]나 [[지마]] 쪽으로 갈 거라면 육로 교통편은 [[나고야]]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야 하므로, 시간만 맞으면 색다른 경험이고 하니 [[페리]]를 생각해 볼만하다. 공항에서 중부국제공항역을 가로지르면 [[페리]] 터미널로 가는 길이 있다. ==내부 시설== 보세구역 쪽으로는 별로 기대할 게 없다. 사실 [[일본]] [[공항]]이 [[도쿄]] 빼놓고는 [[면세점]]이 별볼일 없는데<ref>사실 [[도쿄]]도 [[나리타공항|나리타]]에 비해 [[하네다공항|하네다]]는 많이 떨어진다.</ref>, 여기는 더더욱 별 거 없다. [[간사이공항]]보다도 노선이나 비행편수가 적다 보니 당연한 것일지도. 화장품, [[술]], [[담배]], 기념품과 몇 가지 고급 브랜드 [[면세점]] 정도가 있는 정도이고 규모가 작다. 음식점도 중간에 분식집스럽게 이것저것 파는 곳 하나, 오른쪽 윙에 [[스타벅스]] 정도다. 보세구역이 부실하기는 [[후쿠오카공항]]도 비슷하다. 뭔가 잘 먹고 싶다면 보안검색대 들어가기 전에 먹고 마시자. 4층에는 [[나고야]]에서 난다긴다 하는 유명 음식점들이 낸 분점이 꽤 들어차 있다. [[나고야]]역 앞 지하상가인 에스카와 함께 유명 [[나고야메시]] 음식점들이 집결해 있는 곳. 국제선보다는 국내선 수요가 많기 때문에 음식점을 비롯한 편의시설도 보세구역 바깥에 많은 편이다. ==그밖에== 혹시 [[로밍]] 데이터 무제한을 안 해 왔거나 안 쓸 생각인데 포켓 와이파이와 같은 별다른 대안도 마련해 오지 않았다면 공항에서 [[LTE]] 포켓 와이파이를 대여할 수 있다. 공항 도착 로비에는 [[소프트뱅크]]에서 운영하는 데여점이 있는데 대여료가 하루에 1,200엔이 넘어가니까 패스하자. [[메이테츠]] [[중부국제공항역]]으로 가면 더 저렴한 옵션이 있다. 가격 경쟁력이 가장 좋은 곳은 텔레콤스퀘어(TelecomSquare)로, 정가는 하루 1,000엔이지만 페이스북을 통해 가격 할인 캠페인을 거의 늘상 하므로 하루 660엔 대에서 당일 대여할 수 있다.<ref>여기도 소프트뱅크 망을 쓴다. 그러니 굳이 1,200엔 내고 대여할 필요가...</ref> 일단 [[LTE]]라는 장점이 있는 데다가<ref>보통 [[로밍]] 데이터 무제한은 3G고 [[LTE]] 무제한은 더 비싸다. 게다가 하루 100 MB가 넘어가면 속도제한까지 걸어서 더더욱 느려터진다.</ref> 포켓 [[와이파이]]이므로 여러 대가 공유할 수 있다. 커플끼리 갔다면 이게 훨씬 저렴하다. <del>오로지 이것 때문에 둘이 항상 붙어 다닐 수밖에 없다는 것은 여자들에게 플러스 알파!</del><ref>국내에서 일본용 포켓 [[와이파이]]를 대여해 가는 게 더 싸다. 요즘은 대여 업체가 많이 생기고 경쟁이 치열해져서 하루 3천 원도 안 되는 가격으로 빌릴 수 있다.</ref> 텔레콤스퀘어는 여기 말고도 주요 국제공항에 당일 대여 부스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미처 한국에서 포켓 와이파이를 대여하지 못했다면 이쪽을 이용해 보자. {{각주}} [[Category:공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츄부국제공항 센트레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