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말고기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말고기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del>말 그대로 말의 고기란 말이지.</del> [[말]]을 먹는다는 게 꺼림칙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말고기를 먹은 역사는 아주 오래 되었다. 원시시대에는 말을 길들일 줄 몰랐기 때문에 말을 사냥해서 고기로 먹는 게 보통이었다. 덩치가 큰 편이라 한 마리 잡으면 고기도 꽤 많이 나왔을 테니 꽤 괜찮은 사냥감이었다. 이후에 길들여서 타고 다니게 되면서부터는 고기로서 가지는 비중은 많이 줄었다. 옛날에는 말이 주요한 운송수단 가운데 하나였는데 만약 기력이 쇠하거나 다쳐서 더 이상 운송수단 구실을 못하는 말은 어떻게 했을까? 지금까지의 공적을 기려서 편안한 여생을 보내게 했을 리는 없고 잡아먹었다. 물론 멀쩡히 잘 달리는 말은 중요한 재산이자 군수물자이니 잡아먹었다간 곤장감 정도가 아니라 모가지가 위태로웠을지도. <del>살기 위해서는 죽어라고 뛰어야 하는 거다.</del> 이제는 자동차 시대니 말은 레저나 스포츠의 도구 정도가 되었고,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는 다시금 말고기의 가치가 떠오르는 분위기. 흔히 질기다는 이미지가 있다. 경주마나 파발마로 쓰던 걸 잡았다면 [[근육]]이 발달되어 있어서 질길 것이다. 애초부터 고기용으로 기른 <del>디룩디룩 살찐</del> 말은 근육이 별로 발달하지 않아서 질기지 않고 부드럽다. 당장에 [[일본]]에서 고기용으로 기르는 말을 봐도 이게 말이 맞나 싶을 정도로 살이 많이 쪄서 날렵하고 잘 빠진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돼지]]도 야생 [[멧돼지]]는 엄청 질기다. 고기소도 [[근육]]이 발달 못 하게 가둬 놓고 처묵처묵 시켜서 살만 찌우기 때문에 육질이 부드러운 것이다. 말고기는 [[소고기]]보다 [[지방]]이 적으면서도 연하고 담백한 육질이라 맛들이면 계속 찾개 된다. [[통가]]와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주요한 [[단백질]] 공급원. 특히 [[몽골]]을 비롯한 [[중앙아시아]]는 말젖도 <del>강탈해</del> 마시거나 술까지 빚는데 고기를 안 먹는 게 이상할 것이다. 반면 영어권 국가들은 요즈음은 잘 먹지 않는 편이지만 유럽에서는 어느 정도 소비가 되고 있다. [[이슬람]]은 금지까지는 아니지만 권장하지 않는 종류에 속한다. 우리나라는 말이 많기로 유명한 [[제주도]]가 말고기로도 유명하다. 구이, 탕, [[육사시미]], [[육회]]를 비롯해서 [[소고기]]로 하는 요리 대부분을 말고기로 만드는 음식점들이 많이 있고 심지어는 마트에서도 팔리고 있다. 반면 다른 지방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파일:Basashi.jpg|500px|없음]] [[일본]]은 [[큐슈]]의 [[쿠마모토현]]이 <del>곰고기는 안 먹고</del><ref>사실 [[쿠마모토]]에는 곰이 없다. 원래는 [[쿠마모토]]는 隈(모퉁이 외)本이었지만 카토 키요마사가 무장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해서 일본어로는 발음이 같은 '쿠마'인 熊(곰 웅)으로 바꾼 것.</ref> 말고기로 유명하다. 초원에 살찐 말이 종종 보이고, 시내에 말고기 [[정육점]]도 심심치 않게 있다. 갖가지 말고기 요리도 쉽게 맛볼 수 있다. [[소고기]]처럼 날것으로도 먹는다. 말고기 [[육사시미]]를 바사시(馬刺し)라고 부르는데 인기가 좋다. [[쿠마모토]]만이 아니라 전국 각지의 [[이자카야]] 메뉴에 바사시가 들어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앞서 얘기했지만 [[소고기]]보다 지방이 적으면서 연하게 잡내가 별로 없어서 날것으로 먹어도 맛이 상당히 좋다. [[쿠마모토현]] 일대에는 [[스시]]집을 가도 바사시를 얹은 [[스시]]를 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좋다. 그밖에도 [[쿠마모토현]]에는 구이, 탕을 비롯한 갖가지 말고기 요리들이 있다. ==사쿠라니쿠== [[일본]]에서는 말고기를 사쿠라니쿠(桜肉)라고도 부른다. 우리 말로 하면 '[[벚꽂]] 고기'인 셈인데,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 설은 [[사카모토 료마]]가 지었다는 속요 "咲いた桜になぜ駒つなぐ 駒が騒げば花が散る"(왜 꽂이 핀 [[벚나무]]에 망아지를 매어 놓았는가, 망아지까 뛰니까 꽃이 떨어지는구나)에서 온 말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그닥 설득력은 없어 보인다. 걍 [[사카모토 료마]] 띄워주기성 억지인 듯. 두 번째 설이자 좀 더 유력한 것으로는 [[메이지시대]]에 [[소고기]] [[나베]] 또는 [[스키야키]] 요리가 큰 인기를 끌면서 비싼 [[소고기]] 대신에 말고기를 써서 손님을 속였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노점의 손님으로 가장해서 물건을 칭찬하거나 삼으로써 마치 물건이 좋고 장사가 잘 되는 것처럼 위장하는, 우리말로 하면 바람잡이를 당시 일본에서는 [[사쿠라]]라고 불렀다. 바람이 한번 휙 불면 [[벚꽃]] 잎이 후두둑 떨어지듯 와글와글 했다가 싹 사라진다 해서 [[벚꽃]]에 비유했다는데, 진짜 손님인 척 사람들을 속이는 바람잡이처럼 [[소고기]]인 척 사람들을 속이는 말고기에 사쿠라니쿠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한국 정치권에서 90년대까지 널리 쓰였던 [[사꾸라]]라는 말도 원래의 은어인 [[사쿠라]], 또는 [[소고기]]인 척 하는 말고기 사쿠라니쿠가 그 어원이라고 한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말고기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